행위

TvN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헬조선}}
#넘겨주기 [[tvN]]
{{극혐}}
{{깨시민}}
{{민베충}}
{{PC충}}
{{메오후}}
 
[[CJ E&M]]의 방송국이다.
 
tvN(Total Variety Network),머한민국에서 컨텐츠를 꽤나 잘만드는 방송사이다. 개국일은 2006년 10월 9일 오후7시 라고 전해지며 주로 드라마나 예능이 목적이다. 개국 초창기에는 ㅈㄴ 쓰레기 프로그램이나 만들었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서야 조금씩 나아진 것이다.
 
tvN에서 만드는 예능이나 드라마는 유행을 타기도 하는데, tvN 10주년 당시 열나게 홍보했다. 시상식에 이문세 불러 레전드를 찍었다.
 
{{과거의영광}}
 
존나게 상승가도를 달렸으나 2019년을 기점으로 급속도로 좆망테크를 타고 있다.
 
tvN 주 시청층인 급식충들과 일부 20대들은 죄다 [[넷플릭스]]니 [[유튜브]]로 갈아타버렸고 2049 시청률을 비롯해 TV 예능 수요는 다시 지상파(그 중에서도 MBC와 SBS)로 넘어가버린 상태이다.
 
덕분에 방송하는 프로그램마다 나영석 예능을 제외하곤 시청률은 2~3%를 맴돌고 있고 신규 프로그램들은 6개월도 못가 문을 닫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심지어 신서유기7은 역대 시즌 최저 시청률 찍었다. 실검에 드는 것도 나영석꺼 몇개랑 도레미마켓, 유퀴즈 정도뿐이다.
 
드라마도 호텔 델루나, 사랑의 불시착, 딱 이 두개 빼곤 건질게 없다. 특히 [[아스달 연대기|내다버린 540억]]이 그야말로 치명타를 날렸다.
 
지금 상황이 딱 17~18년도 지상파 3사 상황이랑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아니 예능은 오히려 더 최악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예능/드라마 부분에서 그동안 비슷하게 흥행을 달리던 [[JTBC]]에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다. 차이점은 그나마 이쪽은 시청률 5% 넘는 예능들이 그래도 꽤 있다는 거다.
 
그 와중에 AFC 패키지 중계권을 따왔다. 그 말은 즉슨 일부 국가대표 경기나 AFC 챔피언스리그 등을 tvN을 포함한 CJ E&M 계열의 TV 채널에서 독점 중계한다는 소리인데 이 부분은 함 기대해봐도 좋을 듯하다. 해설자랑 캐스터를 누구 데려오느냐가 문제이고 스포츠 전문채널과 지상파 방송들의 카메라 워킹을 따라할 수 있겠느냐가 관건이다. 물론 이 덕에 평소에는 지상파와 스포츠 채널을 통틀어 K리그 한 경기도 중계 안하는 시방새가 축구는 SBS 이지랄하는 걸 안 봐도 되긴 하다.
 
현재 CJ E&M의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한 O tvN과 XtvN, Olive 셋 중 적어도 하나가 조만간 날아갈 각인데 이 자리에 스포츠채널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
 
헌데 메이저리그 중계권은 MBC 본사/엠스플이, EPL, 유럽 챔스, 농구중계권은 스포티비가, 배구중계권은 KBS N과 SBS 스포츠 둘이서 나눠먹고 있는 실정이고, 프로야구 중계권 재계약은 예상대로 지상파3사가 먹어버린 상황이라 스포츠 채널 운영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모른다.
 
PD한테 프로그램을 3년 이상 할 수 없다는 제도를 만들어 [[신서유기]]가 허무하게 종료될지도 모른다. 다른 PD가 맡아서 잘 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
 
== 프로그램 ==
[1] 예능
*[[꽃보다 청춘]]
*[[꽃보다 할배]] - 예정 없음.
*[[꽃보다 누나]] - 예정 없음.
*[[더 지니어스]]
*[[삼시세끼]] - 예정 없음.
*[[SNL 코리아]]
*[[코미디빅리그]]
*[[현장 토크쇼 TAXI]]
*[[렛츠고 시간 탐험대]]
*[[드림 플레이어]]
*[[내 방의 품격]]
*[[수요미식회]]
*[[배우학교]]
*[[뇌섹시대-문제적 남자]]
*[[명단공개2016]]
*[[집밥 백선생2]]
*[[LET美HOME]]
*[[더콜]]
*[[신서유기]]
*[[도레미 마켓]]
 
[2]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
*[[기억]]
*[[피리부는 사나이]]
*[[막돼먹은 영애씨]] - 시즌15 종영
*[[미생]] - 종영
*[[식샤를 합시다]] - 종영
*[[식샤를 합시다2]] - 종영
*[[응답하라 1988]] - 종영
*[[응답하라 1994]] - 종영
*[[응답하라 1997]] - 종영
*[[시그널]] - 시즌2 예정 (시기미정)
*[[치즈인더트랩]] - 종영
*[[나인]] - 종영
*[[굿와이프]] - 종영
*[[푸른거탑]] - 종영
*[[아스달 연대기]] - 종영
*[[호텔 델루나]] - 종영
*[[사랑의 불시착]] - 종영
*[[하이바이 마마]] - 종영
*[[슬기로운 의사생활]] - 종영
 
[3] 시사교양
*[[곽승준의 쿨까당]]
*[[고성국의 빨간의자]]
*[[오마이갓]]
*[[젠틀맨 리그]]
*[[리틀빅히어로]]
*[[대학토론배틀6]]
*[[tvN 스페셜]]
 
== tvN의 브랜드 ==
tvN이 하나만 있는 게 아니다.
 
* [[O tvN]]: 중장년층을 타겟으로 송출되는 채널이다, 하지만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고 tvN 프로그램을 재방송한다. 기존에 [[스토리온]]을 폐국하고 [[O tvN]]을 개국하였다.
* [[tvN go]]: 모바일 예능 제작소라고 한다. 시청의 시공간 제약이 없는 모바일 플랫폼이라고 한다.
 
== 논란 ==
가끔 악마의 편집이라고 욕을 먹기도 하는데, 악마의 편집은 tvN이 아니라 [[Mnet]]이다, 하지만 어차피 같은 [[CJ ENM]] 채널이다. 때때로 자숙의 시간을 가진 출연자가 방송으로 나오게 하는 역할을 하는 tvN이다.
 
삼성 방계인 설탕회사 따까리 방송사답지 않게 은근 깨시민 병신짓을 많이 하는데 [[K-방역]] 찬양은 말할 것도 없고,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 같은 경우는 설민석이 방송 중에 대놓고 역사왜곡을 했으며 석사 논문 표절 사실까지 드러나자 모든 방송에서 하차했다.
 
{{중뽕}}
{{친중파}}
{{매국노}}
{{착짱죽짱}}
[[파일:빈센조 짱깨몽.jpg|550px]]
 
[[여신강림]]도 대놓고 이러더니 [[빈센조]]까지도 이러고 있다. 비빔밥 PPL이 나오는데 짱깨 비빔밥임 ㅋㅋㅋㅋㅋㅋㅋㅋ
 
[[파일:짱깨 비빔밥.jpg|550px]]
 
그것도 한국'식' 파오차이 비빔밥이다. 파오차이가 뭐냐면 짱퀴벌레들이 [[김치]]의 원조라고 만든 이름이다. tvN은 무조건 걸러라.
 
[[파일:2018년부터 '아따 김치는 중화 성님덜 거시랑께'라고 주장한 tvN.png|550px]]
 
심지어 2018년부터 이미 짱퀴벌레 새끼들을 처빨고 있었다.
 
{{매국노}}
{{단군}}
{{착짱죽짱}}
[[파일:tvN 빈센조 차기작도 짱깨가 제작.png]]
 
빈센조 이후에 방영되는 '간 떨어지는 동거'도 짱퀴벌레 새끼들이 제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둘러보기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채널}}
 
[[분류:방송사]]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