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Windows 7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2009년 7월 22일 기업에 선발매된 후 2009년 10월 22일에 정식 출시된 [[윈도우 비스타]]의 차기 운영체제이자 '''자타공인 우주명작인 [[윈도우 XP]]의 계승작이다.''' 개발 프로젝트 자체는 '블랙콤'이라는 명칭으로 2000년 12월부터 존재했지만, 본격적인 개발 시작은 '7'으로 바뀐 직후인 2007년 7월부터이다.
2009년 7월 22일 기업에 선발매된 후 2009년 10월 22일에 정식 출시된 [[윈도우 비스타]]의 차기 운영체제이자 '''자타공인 우주명작인 [[윈도우 XP]]의 계승작이다.''' 개발 프로젝트 자체는 '블랙콤'이라는 명칭으로 2000년 12월부터 존재했지만, 본격적인 개발 시작은 '7'으로 바뀐 직후인 2007년 7월부터이다.


2025년 10월 14일부로 '''윈도우 7의 연장 지원이 종료될 예정이다.
2020년 1월 14일부로 '''윈도우 7의 연장 지원이 종료되었다.'''(예외적으로 카비레이크 이후 하드웨어는 Windows Vista랑 동시에 지원이 종료되었으며, 펜티엄 3 같은 골동품 하드웨어는 2018년 초반에 지원이 종료되었다) 2023년 1월 10일에 종료하는 것은 '윈도우 7 엔터프라이즈, 프로 에디션' 뿐이며, 그마저도 유료로 연장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윈도우7 기반으로 2011년에 출시한 POS기 전용 OS인 POSReady 7 의 경우 2021년 10월 12일까지 연장지원이 유지된다.''' 기존 윈도우xp 서비스팩3 기반의 2008 POS의 정식 후속 버전 포스기기다.
'''참고로, 윈도우7 기반으로 2011년에 출시한 POS기 전용 OS인 POSReady 7 의 경우 2021년 10월 12일까지 연장지원이 유지된다.''' 기존 윈도우xp 서비스팩3 기반의 2008 POS의 정식 후속 버전 포스기기다.
현재 2020년 1월 14일이 경과하여 보안 업데이트가 완전히 종료된 상황이다. 정확히는 Professional이랑 Enterprise에 한해 유료 지원을 3년 동안 받을 수 있으나, 1년마다 비용이 오른다. 지원을 종료한 지 반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아 아직 윈도우7을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나 차후 스팀 플랫폼 등지에서 서서히 퇴출될 가능성이 있어 지원 종료로부터 1년 정도 지나면 현역에서 물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등의 메이저급 브라우저들의 보안업데이트가 종료되지 않았으며, 익스 11으로도 일단은 웹서핑을 즐길 수는 있어 인터넷 대란에 접어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윈도우 10에 적응하기가 어렵다면 윈도우 7을 사용하면서 천천히 숙련도를 높여나가는 것이 좋지만 이마저도 향후 2년 이내로 갈아타야 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컴퓨터를 즐기려면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하는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윈도우 10에 적응하기가 어렵다면 윈도우 7을 사용하면서 천천히 숙련도를 높여나가는 것이 좋지만 이마저도 향후 2년 이내로 갈아타야 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컴퓨터를 즐기려면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하는데, 조건은 다음과 같다.
23번째 줄: 25번째 줄:


윈도우 10의 무료 업그레이드는 2015년 7월 29일에 출시한 이후 1년 이내에 단 한 번이라도 설치하여 사용한 내역이 있어야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며, 그 외에는 구매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불법으로 떠도는 라이선스를 데이터가 날아갈 각오를 하고 설치해서 사용하느니 정당하게 구매하여 사용하자.<ref>어떤 익명의 사용자들이 자꾸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위에 있는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 무료 업그레이드 자체가 불가능하니 그냥 따로 윈도우 10을 사서 써라. 제법 비싸니 주의! 최소 15만 원은 넘는다. 이미 이 내용은 마소의 공식적인 공지 사항이라 조작의 여지조차 없다.</ref>
윈도우 10의 무료 업그레이드는 2015년 7월 29일에 출시한 이후 1년 이내에 단 한 번이라도 설치하여 사용한 내역이 있어야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며, 그 외에는 구매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불법으로 떠도는 라이선스를 데이터가 날아갈 각오를 하고 설치해서 사용하느니 정당하게 구매하여 사용하자.<ref>어떤 익명의 사용자들이 자꾸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위에 있는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 무료 업그레이드 자체가 불가능하니 그냥 따로 윈도우 10을 사서 써라. 제법 비싸니 주의! 최소 15만 원은 넘는다. 이미 이 내용은 마소의 공식적인 공지 사항이라 조작의 여지조차 없다.</ref>
최근 유튜브가 2020년 3월 이후로 익스플로러11 브라우저의 유튜브 접속을 차단했는데, 이 때문에 사실상 윈도우 비스타/서버 2008 이하 운영체제는 더 이상 실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왜냐하면 비스타 운영체제까지는 크롬과 파이어폭스의 지원 중단된 구버전을 사용해야만 하는데 유튜브에서 이미 지원을 중단한 지 오래이기 때문에 동영상 시청을 제대로 할 수 없어서다.


== 요구 사양 ==
== 요구 사양 ==
=== 32비트 최소 사양 ===
=== 최소 사양 ===
CPU:400Mhz의 펜티엄 2 이상
CPU:펜티엄 2 400Mhz 이상


램 용량:512MB 이상
램 용량:512MB 이상
32번째 줄: 36번째 줄:
모니터 해상도:800x600 이상
모니터 해상도:800x600 이상


그래픽 지원 여부:WDDM 1.0을 지원하는 다이렉트X 9.0 이상, 셰이더 모델 2.0 이상, 64MB VRAM 이상
그래픽 하드웨어:WDDM 1.0을 지원하는 다이렉트X 9.0 이상, 셰이더 모델 2.0 이상, 64MB VRAM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15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15GB 이상


ODD:DVD-ROM 필수
ODD:DVD-ROM 필수, 터치스크린 선택


=== 64비트 최소 사양 ===
=== 32비트 권장 사양(2009년 기준) ===
CPU:2Ghz의 인텔 펜티엄 4 이상
CPU:1.5Ghz의 코어 i3 이상


램 용량:1GB 이상
램 용량:4GB 이상


모니터 해상도:800x600 이상
모니터 해상도:1920x1080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30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120GB 이상


ODD:DVD-ROM 필수, DVD-RW 선택
ODD:DVD-ROM 필수, DVD-RW, 터치스크린 선택


=== 32비트 권장 사양(2009년 기준) ===
=== 64비트 최소 사양(2011년 기준) ===
CPU:1.5Ghz의 코어 1세대 i3 이상
CPU:2Ghz의 인텔 코어 i 네할렘 세대 이상


램 용량:4GB 이상
램 용량:4GB 이상


모니터 해상도:1600x900 이상
모니터 해상도:1024x768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120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160GB 이상


ODD:DVD-ROM 필수, DVD-RW, 터치스크린 선택
ODD:DVD-ROM 필수, DVD-RW 선택


=== 64비트 권장 사양(2012년 기준) ===
=== 64비트 권장 사양(2012년 기준) ===
65번째 줄: 69번째 줄:
램 용량:4GB 이상
램 용량:4GB 이상


모니터 해상도:1920x1080 이상
모니터 해상도:1280x1024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250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250GB 이상
94번째 줄: 98번째 줄:
1. XP 모드 지원:이 기능은 프로페셔널 이상에서만 지원하는 기능이다. 홈 프리미엄에서는 버추얼박스를 내려받아 사용해야 한다. 윈도우 7에서 별도의 창을 통해 윈도우 XP를 재현하는 기능이다.
1. XP 모드 지원:이 기능은 프로페셔널 이상에서만 지원하는 기능이다. 홈 프리미엄에서는 버추얼박스를 내려받아 사용해야 한다. 윈도우 7에서 별도의 창을 통해 윈도우 XP를 재현하는 기능이다.


2. 계산기 관련:이번작부터 계산기의 모습이 일신되었다. 비스타는 95에서 딸려 나온 것 같았던 예전 모습을 확 벗어 던졌다. 기능 또한 상당한 양으로 늘어났다.
2. 계산기 관련:이번작부터 계산기의 모습이 일신되었다. 9x에서 딸려 나온 것 같았던 예전 모습을 확 벗어 던졌다. 기능 또한 상당한 양으로 늘어났다.


3. 그림판의 진화:비스타까지만 해도 95의 그림판 그 자체였으나 이번작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리본 테마를 일부 반영하여 탈바꿈하였다.
3. 그림판의 진화:비스타까지만 해도 9x의 그림판 그 자체였으나 이번작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리본 테마를 일부 반영하여 탈바꿈하였다.


4. 빠른 실행 도구와 작업 표시줄이 이번작부터 통합되었다. 마소에서는 이 기능을 '슈퍼 바'라고 부른다.
4. 빠른 실행 도구와 작업 표시줄이 이번작부터 통합되었다. 마소에서는 이 기능을 '슈퍼 바'라고 부른다.
124번째 줄: 128번째 줄:
{{심플/위백}}
{{심플/위백}}


* 스타터:넷북과 일부 개발도상국에 맞추어 개발한 버전으로, 32비트 전용으로 출시되었다. 에어로 테마 기능을 사용할 수 없고(사실 강제 활성화는 가능한데 넷북 내장 그래픽은 바탕화면 감속기이므로 하지 마라), 하드 디스크의 최대 지원 용량이 250GB에 불과하다. 최근에는 더 골때리는 상황이 벌어졌는데, 누적된 업데이트 중간에 '''바탕화면 영구 변경 불가능'''이라는 제약이 붙어버렸다. 고전 테마로 바꾸면 2000 세대의 기본 바탕 화면이었던 단색 화면이 되며, 역시 변경은 불가능하다. 초창기에는 비스타와 같이 3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띄울 수 없게 제한을 걸어 놨으나, 이후의 업데이트에서는 이 제한이 제거되었다. 또한 듀얼 모니터 기능과 빠른 사용자 전환 기능도 사용할 수 없으며, 홈 그룹에는 가입만 가능한 초 저사양 전용 에디션이다. 메모리는 2GB까지 지원하며, 32비트 에디션 중 유일하게 메모리 제한이 걸려 있다. 참고로 다른 32비트 버전은 4GB까지 지원.
* 스타터:넷북과 일부 개발도상국에 맞추어 개발한 버전으로, 32비트 전용으로 출시되었다. 에어로 테마 기능을 사용할 수 없고(사실 강제 활성화는 가능한데 넷북 내장 그래픽은 바탕화면 감속기이므로 하지 마라), 하드 디스크의 최대 지원 용량이 250GB에 불과하다. 최근에는 더 골때리는 상황이 벌어졌는데, 누적된 업데이트 중간에 '''바탕화면 영구 변경 불가능'''이라는 제약이 붙어버렸다. 고전 테마로 바꾸면 XP 이전 세대의 기본 바탕 화면이었던 단색 화면이 되며, 역시 변경은 불가능하다. 초창기에는 비스타와 같이 3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띄울 수 없게 제한을 걸어 놨으나, 이후의 업데이트에서는 이 제한이 제거되었다. 또한 듀얼 모니터 기능과 빠른 사용자 전환 기능도 사용할 수 없으며, 홈 그룹에는 가입만 가능한 초 저사양 전용 에디션이다. 메모리는 2GB까지 지원하며, 32비트 에디션 중 유일하게 메모리 제한이 걸려 있다. 참고로 다른 32비트 버전은 4GB까지 지원.


* 홈 베이직:개발도상국 전용 버전으로, 에어로 테마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색 변경과 투명도 적용이 불가능한 반쪽짜리가 되어버렸다. 각종 주요 기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음은 안 봐도 블루레이고, 멀티 터치 기능도 없으며, 미디어 센터도 포함되지 않았고 설치도 불가능하다. 바탕 화면 또한 제한적인 방법으로만 변경할 수 있다. 그나마 듀얼 모니터 기능과 빠른 사용자 전환 기능은 사용할 수 있으며, 64비트를 지원한다. 메모리는 최대 8GB까지 지원할 수 있다. 굳이 실컴에 쓰겠다면 좆구형 틀딱 노트북에 스타터 대신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윈도우 10은 기능업뎃 때문에 쓸수록 무거워지고 LTSC는 스토어는 물론이고 구 엣지(EdgeHTML)조차도 빠진 반쪽짜리 윈도우10이라 백신 빼고는 메리트가 거의 없다. 개인 설정을 강제로 활성화하면 기본에어로 테마는 Windows 7, 국가별 전용 테마만 있으나 배경화면 자체는 홈 프리미엄과 똑같다.
* 홈 베이직:개발도상국 전용 버전으로, 에어로 테마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색 변경과 투명도 적용이 불가능한 반쪽짜리가 되어버렸다. 각종 주요 기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음은 안 봐도 블루레이고, 멀티 터치 기능도 없으며, 미디어 센터도 포함되지 않았고 설치도 불가능하다. 바탕 화면 또한 제한적인 방법으로만 변경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정식 발매가 되지 않아 정품 인증이 불가능하다. 해외에서 사 와서 국내로 가져가 봤자 정식 라이센스가 인정되지 않고 국가 제한이 걸리기에 역시 정품 인증은 사용할 수 없다. 우회 방법으로 인증툴을 이용하여 인증이 가능하다. 그나마 듀얼 모니터 기능과 빠른 사용자 전환 기능은 사용할 수 있으며, 64비트를 지원한다. 메모리는 최대 8GB까지 지원할 수 있다. 굳이 실컴에 쓰겠다면 좆구형 틀딱 노트북에 스타터 대신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윈도우 10은 기능업뎃 때문에 쓸수록 무거워지고 LTSC는 스토어는 물론이고 구 엣지(EdgeHTML)조차도 빠진 반쪽짜리 윈도우10이라 백신 빼고는 메리트가 거의 없다. 개인 설정을 강제로 활성화하면 기본에어로 테마는 Windows 7, 국가별 전용 테마만 있으나 배경화면 자체는 홈 프리미엄과 똑같다.


* 홈 프리미엄:가정용으로 출시되었다. 홈 베이직이 사용할 수 없었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에어로 테마를 이 에디션부터 사용할 수 있다. 홈 그룹에는 가입 및 생성이 가능하고, 바탕 화면을 개인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다. 메모리는 최대 16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 홈 프리미엄:가정용으로 출시되었다. 홈 베이직이 사용할 수 없었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에어로 테마를 이 에디션부터 사용할 수 있다. 홈 그룹에는 가입 및 생성이 가능하고, 바탕 화면을 개인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다. 메모리는 최대 16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137번째 줄: 141번째 줄:


=== 특수 용도 ===
=== 특수 용도 ===
임베디드 스탠다드 7:2010년 7월 29일에 출시된 임베디드 시스템 전용 에디션이다. 연장 지원은 2020년 10월 13일부로 종료되었다. 알려진 정보가 없다시피하고 수요 또한 국내에서는 없는 것으로 취급된다.
임베디드 스탠다드 7:2010년 7월 29일에 출시된 임베디드 시스템 전용 에디션이다. 연장 지원은 2020년 10월 13일부로 종료될 예정이나, 그 이후에도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알려진 정보가 없다시피하고 수요 또한 국내에서는 없는 것으로 취급된다.


POSReady 7 :산업용 기기 혹은 은행 ATM 기기, 버스정류장 안내 기기에 사용되는 특수목적 임베디드 전용 운영체제다. 윈도우7을 기반으로 하여 2011년 10월 11일에 공개되었으며, 4색 로고를 지원하는 가장 마지막 운영체제다. 임베디드 전용 OS답게 일반 버전 윈도우7 보다 지원 기간이 2년 정도 더 긴데, '''2021년 10월 12일까지 연장지원이 유지된다.'''
POSReady 7 :산업용 기기 혹은 은행 ATM 기기, 버스정류장 안내 기기에 사용되는 특수목적 임베디드 전용 운영체제다. 윈도우7을 기반으로 하여 2011년 10월 11일에 공개되었으며, 4색 로고를 지원하는 가장 마지막 운영체제다. 임베디드 전용 OS답게 일반 버전 윈도우7 보다 지원 기간이 2년 정도 더 긴데, '''2021년 10월 12일까지 연장지원이 유지된다.'''


Thin PC: Windows XP의 경량판이었던 Windows Fundamentals for Legacy PCs처럼 경량화가 되어 있는 저사양 PC용 윈도우 7이다. 그러나 스타터나 홈 베이직에서 지원하지 않는 개인 설정을 지원한다.
Thin PC: Windows XP의 경량판이었던 Windows Fundamentals for Legacy PCs처럼 경량화가 되어 있는 저사양 PC용 윈도우 7이다. 그러나 스타터에서 지원하지 않는 개인 설정을 지원한다.


=== 각 에디션 별 메모리 제한 ===
=== 각 에디션 별 메모리 제한 ===
155번째 줄: 159번째 줄:


== 지원 종료 일자 ==
== 지원 종료 일자 ==
RTM:2022년 12월 31일
RTM:2013년 4월 9일


일반 지원:2022년 12월 31일
일반 지원:2015년 1월 13일


서비스팩 1 및 연장 지원:2025년 10월 14일
서비스팩 1 및 연장 지원:2020년 1월 14일


임베디드 7 특별 연장 지원:2020년 10월 13일
임베디드 7 특별 연장 지원:2020년 10월 13일


POSReady 7 특별 연장 지원:2021년 10월 12일
POSReady 7 특별 연장 지원:2021년 10월 12일
엔터프라이즈 대응 유료 연장 지원:2023년 1월 10일


== 연표 및 빌드 ==
== 연표 및 빌드 ==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