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Windows Vista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1번째 줄: 31번째 줄:


== 요구 사양 ==
== 요구 사양 ==
=== 32비트 최소 사양 ===
=== 최소 사양 ===
CPU:400Mhz의 펜티엄 2 이상
CPU:400Mhz의 펜티엄 2 이상


40번째 줄: 40번째 줄:
그래픽 지원 여부:WDDM 1.0을 지원하는 다이렉트X 9.0 이상, 셰이더 모델 2.0 이상, 64MB VRAM 이상
그래픽 지원 여부:WDDM 1.0을 지원하는 다이렉트X 9.0 이상, 셰이더 모델 2.0 이상, 64MB VRAM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15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20GB 이상


ODD:CD-ROM 필수
ODD:CD-ROM 필수


=== 64비트 최소 사양 ===
너무 지나치게 낮은 사양이다. 그야말로 '''돌아는 간다'''라고 할 만한 최하한선이다.
CPU:2Ghz의 인텔 펜티엄 4 이상


램 용량:1GB 이상
=== 32비트 권장 사양(2007년 기준 평균 사양) ===
CPU:1.8Ghz의 코어2 듀오 이상


모니터 해상도:800x600 이상
용량:4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30GB 이상


ODD:DVD-ROM 필수, DVD-RW 선택
모니터 해상도:1024x768 이상


=== 32비트 권장 사양(2009년 기준) ===
하드 디스크 용량:60GB 이상
CPU:1.5Ghz의 코어 1세대 i3 이상


램 용량:4GB 이상
ODD:DVD-ROM 선택


모니터 해상도:1600x900 이상
2007년 기준으로는 적당한 사양이며, 서비스팩 1을 버틸 수 있다. 서비스팩 2는 약간 아슬아슬하게 버틸 수 있지만, 차기작인 윈도우 7은 도저히 구동이 불가능하다.


하드 디스크 용량:120GB 이상
=== 64비트 권장 사양(2009년 기준 평균 사양) ===
CPU:3Ghz의 펜티엄 코어 i 시리즈 네할렘 세대 이상


ODD:DVD-ROM 필수, DVD-RW, 터치스크린 선택
램 용량:4GB 이상


=== 64비트 권장 사양(2012년 기준) ===
모니터 해상도:1280x1024 이상
CPU:3Ghz의 인텔 코어 i 샌디브릿지 세대 이상


용량:4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160GB 이상


모니터 해상도:1920x1080 이상
ODD:DVD-ROM 필수, DVD-RW 선택
 
하드 디스크 용량:250GB 이상


ODD:DVD-RW 필수
2009년 기준으로는 쾌적한 사양이며, 서비스팩 2뿐만 아니라 차기작인 윈도우 7 서비스팩 1까지도 버틸 수 있다. 2019년 기준으로도 쓸만하다.


=== 64비트 권장 사양(2015년 기준) ===
=== 64비트 권장 사양(2012년 기준 평균 사양) ===
CPU:3Ghz의 인텔 코어 i 스카이레이크세대 이후.
CPU:3Ghz의 인텔 코어 i 시리즈 샌디브릿지 세대 이상


램 용량:8GB 이상
램 용량:8GB 이상
84번째 줄: 79번째 줄:
모니터 해상도:1920x1080 이상
모니터 해상도:1920x1080 이상


하드 디스크/SSD 용량:250G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250GB 이상


ODD: 선택
ODD:DVD-ROM 필수, DVD-RW 선택
 
=== 최대 사양 ===
CPU: 인텔 i7-10700K 프로세서
 
램 용량: 128GB(얼티메이트 기준. 홈 프리미엄 64비트는 16GB. 홈 베이직 64비트는 8GB)
 
저장장치: NVMe 2TB


ODD: 선택
2012년 기준으로는 쾌적한 사양이며, 윈도우 7 서비스팩 1에 대응될 뿐더러 최신작인 윈도우 10에서도 날아다닐 정도이다. 2019년 기준으로는 고사양은 아니지만 저사양은 더더욱 아닐 정도로 쾌적하다.


== 추가된 기능 ==
== 추가된 기능 ==
110번째 줄: 98번째 줄:
6. '''가정용 최초의 64비트 기반 운영체제 정식 지원''':XP에서도 지원되었지만, 주력이 아니었고 호환성이 개판이었다. 하지만 이번작부터는 호환성을 증대시켜 주력으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4GB 이상의 램을 장착하고 싶거나 이미 장착한 사용자들 절대다수가 64비트로 넘어가는 계기가 되었다. 32비트에서는 오버플로우 문제로 인해 4GB 이상의 램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6. '''가정용 최초의 64비트 기반 운영체제 정식 지원''':XP에서도 지원되었지만, 주력이 아니었고 호환성이 개판이었다. 하지만 이번작부터는 호환성을 증대시켜 주력으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4GB 이상의 램을 장착하고 싶거나 이미 장착한 사용자들 절대다수가 64비트로 넘어가는 계기가 되었다. 32비트에서는 오버플로우 문제로 인해 4GB 이상의 램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7. '''멀티코어 프로세서 정식 지원''':이것도 전작인 XP와 전전작인 2000에서 이미 지원되었던 기능이지만, XP는 출시 당시 싱글코어가 주력이었고 운영체제도 싱글코어에 대응하여 제작된 거라 멀티코어를 제대로 활용할 수는 없었으나, 이번작이 출시될 당시는 이미 멀티코어가 대세가 된 시기라 이에 대응하였기에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7. '''멀티코어 프로세서 정식 지원''':이것도 전작인 XP에서 이미 지원되었던 기능이지만, XP는 출시 당시 싱글코어가 주력이었고 운영체제도 싱글코어에 대응하여 제작된 거라 멀티코어를 제대로 활용할 수는 없었으나, 이번작이 출시될 당시는 이미 멀티코어가 대세가 된 시기라 이에 대응하였기에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8. '''천지개벽 그 자체가 된 윈도우 설치 방식''':9x의 경우 CAB 특수 압축 확장자로 압축된 파일을 일일이 풀어서 설치하는 방식이고, 도스부터 XP까지의 설치 방식은 확장자 맨 끝이 밑줄로 되어 있는 개별 압축 파일들을 일일이 하나씩 풀어서 설치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간단히 말하자면 두 가지 다 CLI(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조금만 개조한 방식이라 컴초보에게는 제법 난이도가 있었던 설치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번작부터는 아예 처음부터 설치가 끝난 설치 파일들을 설치 미디어 프로그램에 전부 욱여넣고 GUI(그래픽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마개조한 후 설치 디스크에 옮겨 담아 완성한 것이라 매우 간편해지고 설치 속도도 일신되었다. CD 하나만 넣으면 약간의 과정을 거치고 전자동으로 설치를 이루어내니 XP 시절의 그것과는 비교 자체를 할 수가 없다. 사실 XP의 저사양 에디션인 FLP도 이 설치 과정에 GUI를 도입했기는 하지만 별로 알려지지 않은 물건이고, 유명한 윈도우 시리즈에 한정하여 설치 극초기부터 GUI를 사용한 것은 비스타가 최초다.
8. '''천지개벽 그 자체가 된 윈도우 설치 방식''':9x의 경우 CAB 특수 압축 확장자로 압축된 파일을 일일이 풀어서 설치하는 방식이고, 도스부터 XP까지의 설치 방식은 확장자 맨 끝이 밑줄로 되어 있는 개별 압축 파일들을 일일이 하나씩 풀어서 설치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간단히 말하자면 두 가지 다 CLI(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조금만 개조한 방식이라 컴초보에게는 제법 난이도가 있었던 설치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번작부터는 아예 처음부터 설치가 끝난 설치 파일들을 설치 미디어 프로그램에 전부 욱여넣고 GUI(그래픽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마개조한 후 설치 디스크에 옮겨 담아 완성한 것이라 매우 간편해지고 설치 속도도 일신되었다. CD 하나만 넣으면 약간의 과정을 거치고 전자동으로 설치를 이루어내니 XP 시절의 그것과는 비교 자체를 할 수가 없다. 사실 XP의 저사양 에디션인 FLP도 이 설치 과정에 GUI를 도입했기는 하지만 별로 알려지지 않은 물건이고, 유명한 윈도우 시리즈에 한정하여 설치 극초기부터 GUI를 사용한 것은 비스타가 최초다.
169번째 줄: 157번째 줄:


== 지원 종료 기간 ==
== 지원 종료 기간 ==
RTM:2022년 12월 31일
RTM:2010년 4월 13일


서비스팩 1:2022년 12월 31일
서비스팩 1:2011년 7월 12일


일반 지원:2022년 12월 31일
일반 지원:2012년 4월 10일


서비스팩 2 및 연장 지원:2025년 10월 14일
서비스팩 2 및 연장 지원:2017년 4월 11일


윈도우 서버 2008: 2025년 10월 14일
윈도우 서버 2008: 2023년 1월 10일.


== 연표 및 빌드 ==
== 연표 및 빌드 ==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