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묘호

조무위키

동아시아에서 왕이 죽은후에 지어주는 명칭이다. 시호와는 별개다.

일단 시호와는 달리 묘호는 천자 전용이라 제후국에서는 쓸 수 없었지만 고구려는 논란이 있지만 태조대왕을 태조라고 지칭했고, 신라에서도 태조와 태종 및 열조라는 묘호를 썼고(성한왕, 무열왕, 원성왕) 외왕내제를 하던 고려는 원간섭기를 제외하면 썼으며, 조선은 모든 왕에다 묘호를 붙였다.

중국[편집]

묘호의 본고장인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까지만 하더라도 붙이는 기준이 매우 엄근진했다. 모든 황제에게 묘호를 붙이기 시작한 건 당나라 이후다.

한나라에서 묘호를 받은 사례로는 창업군주인 태조(고제)<ref>흔히 한 고조라고도 한다.</ref>, 태종(문제), 세종(무제), 중종(선제), 세조(광무제), 현종(명제), 숙종(장제) 등이 있다. 심지어 아버지와 함께 문경지치를 이끌었으며 오초칠국의 난을 제압한 경제도 묘호가 없었다...

기준[편집]

  • 무덤위치: 무덤위치로 이름이 정해짐. 대표적으로 민중원에 묻혔던 민중왕이 있다.
  • 생전 행보: 조/종 자돌림은 대부분 이쪽이다. 그중 '인'자 돌림은 정치를 좆으로 해놔서 이름을 막붙이고 싶은데, 그래도 왕이니까라며 붙인 것이다.
ㄴ그건 아님. 이종새끼 때문에 그렇게 인식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게 치면 문종대왕도 묘호 최종 후보가 '인'이었다. 이종새끼 묘호는 효종 빨이 큼.

ㄴㄴ 인종이 뭘 정치를 좆으로 했어

  • 이름: 대체로 마지막왕이 이묘호를 얻는다. 그 외에 궁정쿠데타로 폐위된 왕의 경우에는 왕자시절 칭호로 묘호를 얻기도(광해군, 연산군)

ㄴ 광해군, 연산군은 묘호도 아니며 시호도 아니다. 단지 군호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