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한자 및 한자어에 대해 다룹니다.


기침할 수/빨아들일 삭
부수 (입구) 획수 14획
교육용 범위 외 급수 준특급
신자체 없음
일본어 음독 シュウ
(呉)ス、ソク
(漢)ソウ、ソク

일본어 훈독 うがい
くちすす(ぐ)
す(う)
せき
せ(く)

일본 국어시책 범위 외
JIS JIS 제2수준
칸켄 급수 1급
간체자 없음

표준 중국어 병음 sòu, shù, sù

한중일 통합 한자
U+55FC
U+55FD
U+55FE
- 토론

기침할 수/빨아들일 삭

설명[편집]

기침하다, 양치질하다(= ), 기침 등을 뜻하는 한자로, 음이 '삭'일 때는 빨아들이다, 핥다, 마시다 등을 뜻한다.

부수는 입구()이며 획수는 총 14획이다.

유니코드에선 U+55FD,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특급에 배정되어 있다.

유의자[편집]

  • (기침 수)

용례[편집]

기침[편집]

  • 수기(嗽器): 가래을 뱉는 그릇.
  • 수성(嗽聲): 기침 소리.
  • 수천(嗽喘): 콜록거리다.
  • 수혈(嗽血): 가빨에 가 섞여 나오는 . 폐결핵ㆍ폐 디스토마ㆍ후두 카타르, 또는 후두ㆍ기관ㆍ 같은 곳의 외상으로 인하여 생김.
  • 건수(乾嗽): 마른기침.
  • 격수(膈嗽): 담음이 가름막 위에 몰려서 생긴 기침.
  • 구수(久嗽): 기침이 나기 시작하면 오랫동안 그치지 아니하는 병의 증세. 만성의 폐질환ㆍ만성 기관지 질환의 통틀어 일컬음.
  • 기수(氣嗽): 기담으로 일어나는 기침. 특히 여자에게 많음.
  • 냉수(冷嗽): 해수(咳嗽).
  • 노수(勞嗽): 주색(酒色)이 지나쳐 몸이 허약해지고 기침ㆍ오한ㆍ도한(盜汗)ㆍ열이 나는 병.
  • 담수(痰嗽): 속에 습담(濕痰)이 있어서, 그것이 폐로 올라올 때에는 기침이 나고, 담(痰)이 나온 때에는 기침이 그치는 병.
  • 야수(夜嗽): 이면 나는 기침.
  • 자수(子嗽): 임신한 부인이 감기 등으로 늘 기침이 나는 증세.
  • 주수(酒嗽): 을 지나치게 마셔 술의 열기가 위 속에 남아서 생긴 기침과 가래가 심하게 나는 병.
  • 천수(喘嗽): 헐떡거림. 기침.
  • 풍수(風嗽): 가 막히고 이 쉬고 마르며 목구멍이 가렵고 기침이 자주 나는 병.
  • 한수(寒嗽): 감기가 들어서 기침이 몹시 심하게 나는 병.
  • 혈수(血嗽): 기침할 때에 피가 나오는 증세.
  • 해수(咳嗽): 기침. 기도의 점막이 자극을 받아 갑자기 숨소리를 터트려 내는 일.
  • 화수(火嗽): 가래는 적으나 기침이 몹시 나며 얼굴이 붉어지고 갈증이 나는 병.
  • 해수병(咳嗽病), 수해(嗽咳): 기침병. 기침을 심하게 하는 병.
  • 경격수(驚膈嗽): 어린이 경풍 때 경련이 멎은 다음 기침이 생긴 병증.
  • 천행수(天行嗽): 기침이 심한 유행성 감기의 한 가지.
  • 습성해수(濕性咳嗽): 기관지염. 기관지, 폐렴, 폐농양 등의 후기에 생기는 기침. 담(痰)이 나옴.

양치질[편집]

  • 수구(嗽口): 양치질하다. 입가심하다.
  • 수석(嗽石/漱石): 로 양치질함.
  • 수세(嗽洗): 양치질하고 세수함.
  • 수약(嗽藥): 구세액(口洗液).
  • 함수(含嗽/含漱): 양치질을 함.
  • 함수제(含嗽劑/含漱劑): 입안이나 목구멍의 세균을 제거하고 한편 염증을 치료하는 데 쓰는 약제. 수렴성ㆍ방부성이 있어야 하며 붕산수ㆍ염소 칼륨의 용액ㆍ과산화 수소수ㆍ중조수(重曹水) 등이 널리 쓰임.

빨아들이다, 핥다, 마시다[편집]

  • 삭음(嗽飮): 빨아 마심.
  • 삭전(嗽吮): (종기 등을) 빨다.

고사성어/숙어[편집]

  • 침석수류(枕石嗽流/枕石漱流): 세간에서 떠나 산속에서 자유롭게 지내는 것의 비유. 은자(隱者)의 생활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