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한자 및 한자어에 대해 다룹니다.
문서는 창의력 넘쳐나는 것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만든 사람의 창의력이 듬뿍 들어갔거나, 당신의 창의력을 마구 발산할 수 있는 것들, 아니면 창의적인 사고능력을 가진 인물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말만 창의력을 우선시한다면서 창의적인 도둑질을 벌인 적도 있으니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당신의 그 소중한 창의력이 쓸데없는 창잉력이나 장의력으로 변하지 않기를 빕니다.


수놓을 수
부수 糹(실사변) 획수 19획
교육용 범위 외 급수 1급
신자체 (繍)
일본어 음독 シュウ

일본어 훈독 うつく(しい)
にしき
ぬいとり

일본 국어시책 인명용 한자
JIS JIS 제3수준
칸켄 급수 준1급
간체자

표준 중국어 병음 xiù

한중일 통합 한자
U+7E60
U+7E61
U+7E62
- 토론

수놓을 수

개요[편집]

수(繡)를 놓는 것, 또한 수(繡) 자체를 의미한다. 비단을 의미하기도 한다. 는 일본의 확장 신자체 및 간이관용자체이며, 간체자, 는 속자이다.

부수는 실사변()이며 총 19획이다.

유니코드에선 U+7E61, 한자검정시험에선 1급에 배정되어 있다.

유의자[편집]

  • (수놓을 궤, 토끝 회/귀)
  • (수놓을 분)
  • (수놓을 수)

용례[편집]

위험!

이 문서는 용례이(가) 너무 많아서 읽다 보면 너는 죽게 됩니다. 삼가 고(故) 너의 띵복을 오른손으로 비비고~ 왼손으로 비비고~ 아무튼 야무지게 빕니다.


단어[편집]

2글자[편집]

  • 수계(繡啓)
  • 수금(繡衾)
  • 수낭(繡囊)
  • 수단(繡單)
  • 수단(繡緞)
  • 수돈(繡墪)
  • 수란(繡蘭/繡糷)
  • 수막(繡幕)
  • 수문(繡紋)
  • 수방(繡房)
  • 수법(繡法)
  • 수병(繡屛)
  • 수본(繡本)
  • 수봉(繡峰)
  • 수불(繡佛)
  • 수사(繡使)
  • 수상(繡像)
  • 수상(繡裳)
  • 수선(繡扇)
  • 수안(繡鞍)
  • 수의(繡衣)
  • 수자(繡刺)
  • 수장(繡帳)
  • 수재(繡梓)
  • 수조(繡組)
  • 수천(繡薦)
  • 수침(繡枕)
  • 수품(繡品)
  • 수혜(繡鞋)
  • 수호(繡箶)
  • 수화(繡畫)
  • 수화(繡花)
  • 궁수(宮繡)
  • 문수(紋繡)
  • 자수(刺繡)

3글자[편집]

  • 수구화(繡毬花)
  • 수당혜(繡唐鞋)
  • 수룡의(繡龍衣)
  • 수방석(繡方席)
  • 수안아(繡眼兒)
  • 수우침(繡隅枕)
  • 수의상(繡衣裳)
  • 수족자(繡簇子)
  • 수질노(繡質弩)
  • 수팔련(繡八蓮)
  • 수혼식(繡婚式)
  • 금수목(錦繡木)
  • 금수장(錦繡帳)
  • 만수첨(滿繡韂)
  • 망수의(蟒繡衣)
  • 자수품(刺繡品)
  • 홍수당(紅繡幢)
  • 홍수선(紅繡扇)
  • 십자수(十字繡)
  • 재봉수(裁縫繡)

4글자[편집]

  • 수선국과(繡線菊科)
  • 수안아과(繡眼兒科)
  • 수의사도(繡衣使道)
  • 수의사목(繡衣事目)
  • 수의어사(繡衣御史)
  • 수호문창(繡戶紋窓)
  • 만수가사(滿繡袈裟)
  • 금병수족(錦屛繡簇)
  • 금장수구(錦章繡句)
  • 묘착수파(猫着繡帕)
  • 옥창수호(玉窓繡戶)
  • 은안수곡(銀鞍繡轂)

5글자[편집]

  • 수질구궁노(繡質九弓弩)
  • 비시수난삼(緋絁繡鸞衫)
  • 자시수난포(紫絁繡鸞袍)
  • 조시수난삼(皁絁繡鸞衫)

고사성어 및 사자성어[편집]

  • 수석금병(繡席金屛)
  • 수의야행(繡衣夜行), 의수야행(衣繡夜行)
  • 금수강산(錦繡江山)
  • 금수능라(錦繡綾羅), 능라금수(綾羅錦繡)
  • 금수심간(錦繡心肝), 금심수구(錦心繡口), 금심수장(錦心繡腸), 수구금심(繡口錦心) - 훌륭한 착상과 아름다운 말 또는 시나 문장에 재능이 뛰어남을 이르는 말.
  • 금수지장(錦繡之腸) - 비단결같이 고운 마음씨를 이름. 아름다운 마음씨의 소유자. 위의 숙어 4개와 유의어이다.
  • 문수지복(紋繡之服)
  • 경파수엽(瓊葩繡葉/瓊葩葉)
  • 야행피수(夜行被繡)
  • 금수의끽일시(錦繡衣喫一時)

속담[편집]

  • 적라지구 난패수호(赤裸之軀難佩繡): 벌거벗고 전통(箭筒, 화살통) 찰까. 격에 맞지 않게 꾸미어 차리는 것은 볼썽사납다는 뜻.

ㄴ 존나 많지만 수의, 문수, 자수, 수혼식, 십자수, 금수강산 말고는 거의 안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