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롤독충들이 좋아합니다.
이 문서는 롤독충들이 좋아하는 문서입니다.
만약 PC방 주변에 롤독충이 있다면 키보드 자판을 컵라면에 싸서 먹이십시오.
★우승팀/선수입니다.★

이 문서는 겜잘알에 관련된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게임을 존나 잘하거나 게임을 하면서 도를 닦으신 분에 대하여 다룹니다.
부디 게임에만 몰두하여 부모마저 저버리는 겜창이 되진 마시기 바랍니다.
게임도 하나의 국력이고 작품이자 돈이 되는 문화산업이다! 야이 엿성부 게관위 WHO 겜알못 새끼들아!
이 문서는 금손에 대해 다룹니다.
우리 같은 앰생똥손들은 암만 노오오력해 봤자 손톱의 때만큼도 실력을 못 따라가는 금손을 가진 사람이니 그냥 열심히 후장이나 빠시기 바랍니다.

원조는 세체미.

역대 전세계 리그오브레전드 라이너 중 정점을 찍었던 분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이 문서에서는 세계 롤대회 중 가장 규모가 큰 두개의 대회, 미드시즌-인비테이셔널(MSI)과 리그오브레전드 월드챔피언쉽(롤드컵)의 우승팀의 라이너를 세체로 정의하도록 한다.

단 월드 챔피언쉽 시즌1(2011) 우승팀인 프나틱(LEC)은 라인을 명확히 쪼개는 EU 메타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던 당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제외하도록 한다.

여태껏 세체 반열에 선수를 배출시킨 리그는 LEC(유럽), LPL(중국), LCK(한국), LMS(대만-홍콩-마카오)[1]가 있는데, 희한하게도 꼴에 4대리그인 LCS(북미)는 여태껏 우승팀을 배출시킨 전적이 없고, 시즌 1을 포함해서 유럽이 두번 중국이 네번 한국이 일곱번 대만쪽이 한번 배출시켰다.

롤드컵 시즌2 우승팀인 TPA는 원칙적으로는 동남아 리그 출신이나, 애초에 선수진들 모두 중화권 출신이고 팀 전체가 모두 LMS에 흡수되었기 때문에 GPL-LMS로 표기하도록 한다.
...는 LMS가 결국 폭파되고 다시 동남아 리그로 돌아가서 PCS도 같이 기입한다.

세체탑[편집]

Stanley (Taipei Assassins <GPL-LMS-PCS>) : 2012 롤드컵

Impact (SKT Telecom T1 K <LCK>) : 2013 롤드컵

Looper (Samsung Galaxy White <LCK>) : 2014 롤드컵

Korol (Edward Gaming <LPL>) : 2015 MSI

MaRin (SKT Telecom T1 <LCK>) : 2015 롤드컵

Duke (SKT Telecom T1 <LCK>) : 2016 MSI

Duke (SKT Telecom T1 <LCK>) : 2016 롤드컵

Huni (SKT Telecom T1 <LCK>) : 2017 MSI

CuVee (Samsung Galaxy <LCK>) : 2017 롤드컵

Letme (Royal Never Give Up <LPL>) : 2018 MSI

TheShy (Invictus Gaming <LPL>) : 2018 롤드컵

Wunder (G2 ESPORTS <LEC>) : 2019 MSI

GimGoon (FunPlus Phoenix <LPL>) : 2019 롤드컵

Nuguri (DAMWON Gaming <LCK>) : 2020 롤드컵

Flandre (Edward Gaming <LPL>): 2021 롤드컵

Kingen (DRX <LCK>): 2022 롤드컵

세체정[편집]

Lilballz (Taipei Assassins <GPL-LMS-PCS>) : 2012 롤드컵

Bengi (SKT Telecom T1 K <LCK>) : 2013 롤드컵

Dandy (Samsung Galaxy White <LCK>) : 2014 롤드컵

Clearlove (Edward Gaming <LPL>) : 2015 MSI

Bengi (SKT Telecom T1 <LCK>) : 2015 롤드컵

Blank (SKT Telecom T1 <LCK>) : 2016 MSI

Blank (SKT Telecom T1 <LCK>) : 2016 롤드컵

Peanut (SKT Telecom T1 <LCK>) : 2017 MSI

Ambition (Samsung Galaxy <LCK>) : 2017 롤드컵

Mlxg (Royal Never Give Up <LPL>) : 2018 MSI

Ning (Invictus Gaming <LPL>) : 2018 롤드컵

Jankos (G2 ESPORTS <LEC>) : 2019 MSI

Tian (FunPlus Phoenix <LPL>) : 2019 롤드컵

Canyon (DAMWON Gaming <LCK>) : 2020 롤드컵

Jiejie (Edward Gaming <LPL>): 2021 롤드컵

Pyosik (DRX <LCK>): 2022 롤드컵

세체미[편집]

Toyz (Taipei Assassins <GPL-LMS-PCS>) : 2012 롤드컵

Faker (SKT Telecom T1 K <LCK>) : 2013 롤드컵

Pawn (Samsung Galaxy White <LCK>) : 2014 롤드컵

Pawn (Edward Gaming <LPL>) : 2015 MSI

Faker, Easyhoon (SKT Telecom T1 <LCK>) : 2015 롤드컵

Faker (SKT Telecom T1 <LCK>) : 2016 MSI

Faker (SKT Telecom T1 <LCK>) : 2016 롤드컵

Faker (SKT Telecom T1 <LCK>) : 2017 MSI

Crown (Samsung Galaxy <LCK>) : 2017 롤드컵

Xiaohu (Royal Never Give Up <LPL>) : 2018 MSI

Rookie (Invictus Gaming <LPL>) : 2018 롤드컵

Caps (G2 ESPORTS <LEC>) : 2019 MSI

Doinb (FunPlus Phoenix <LPL>) : 2019 롤드컵

ShowMaker (DAMWON Gaming <LCK>) : 2020 롤드컵

Scout (Edward Gaming <LPL>) :2021 롤드컵

Zeka (DRX <LCK>): 2022 롤드컵

세체원[편집]

Bebe (Taipei Assassins <GPL-LMS-PCS>) : 2012 롤드컵

Piglet (SKT Telecom T1 K <LCK>) : 2013 롤드컵

Imp (Samsung Galaxy White <LCK>) : 2014 롤드컵

Deft (Edward Gaming <LPL>) : 2015 MSI

Bang (SKT Telecom T1 <LCK>) : 2015 롤드컵

Bang (SKT Telecom T1 <LCK>) : 2016 MSI

Bang (SKT Telecom T1 <LCK>) : 2016 롤드컵

Bang (SKT Telecom T1 <LCK>) : 2017 MSI

Ruler (Samsung Galaxy <LCK>) : 2017 롤드컵

Uzi (Royal Never Give Up <LPL>) : 2018 MSI

JackeyLove (Invictus Gaming <LPL>) : 2018 롤드컵

Perkz (G2 ESPORTS <LEC>) : 2019 MSI

Lwx (FunPlus Phoenix <LPL>) : 2019 롤드컵

Ghost (DAMWON Gaming <LCK>) : 2020 롤드컵

Viper (Edward Gaming <LPL>) : 2021 롤드컵

Deft (DRX <LCK>): 2022 롤드컵

세체폿[편집]

MiSTakE (Taipei Assassins <GPL-LMS-PCS>) : 2012 롤드컵

PoohManDu (SKT Telecom T1 K <LCK>) : 2013 롤드컵

Mata (Samsung Galaxy White <LCK>) : 2014 롤드컵

Meiko (Edward Gaming <LPL>) : 2015 MSI

Wolf (SKT Telecom T1 <LCK>) : 2015 롤드컵

Wolf (SKT Telecom T1 <LCK>) : 2016 MSI

Wolf (SKT Telecom T1 <LCK>) : 2016 롤드컵

Wolf (SKT Telecom T1 <LCK>) : 2017 MSI

CoreJJ (Samsung Galaxy <LCK>) : 2017 롤드컵

Ming (Royal Never Give Up <LPL>) : 2018 MSI

Baolan (Invictus Gaming <LPL>) : 2018 롤드컵

Mikyx (G2 ESPORTS <LEC>) : 2019 MSI

Crisp (FunPlus Phoenix <LPL>) : 2019 롤드컵

BeryL (DAMWON Gaming <LCK>) : 2020 롤드컵

Meiko (Edward Gaming <LPL>): 2021 롤드컵

BeryL (DRX <LCK>): 2022 롤드컵

여담[편집]

서브선수는 포함이 안되어있다. 2016년의 벵기처럼 특이한 케이스도 있으나 1년 내내 고른 활약을 한 것은 아니기에 통일성을 위해 모두 제외하였다.

다만 1년동안 주전과 거의 다를바 없는 활약을 했던 2015 롤드컵 SKT T1의 이지훈 선수만 유일하게 예외로 취급한다.

담원 게이밍이 2020 롤드컵을 우승하며 3년만에 LCK에 우승 트로피를 가져왔다. 이야야ㅑㅑ 기분좋다아아ㅏㅏ

번외: 역체[편집]

국내 월즈 MVP멤버[편집]

2020년 담원이 우승하게 되면서 LCK에서 총 5명의 롤드컵 MVP를 배출하게 되었고[2]

재밌게도 딱 라인마다 한사람씩만 있어서 롤드컵 결승전 MVP 출신으로만 역체 멤버를 선정할 수 있게 되었다.

탑: 마린 (2015 MVP)

정글: 캐니언 (2020 MVP)

미드: 페이커 (2016 MVP)

원딜: 룰러 (2017 MVP)

서폿: 마타 (2014 MVP)

커리어 기준[편집]

탑: 듀크

정글: 벵기

미드: 페이커

원딜:

서폿: 울프


커리어 상 페벵뱅울이 역체 라인이라는건 이견의 여지가 없다.

근데 탑은 좀 애매한게 주전으로 월즈 2회 우승을 달성한 선수가 없다.[3]

국내에서는 마린/큐베/더샤이 중에서 역체를 꼽는 편인데

일반적인 평가로는 마린 or 더샤이 > 큐베 순으로 역체탑이라고 한다. 이번에 너구리가 우승을 하면서 역체탑 후보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평가가 어떻게 바뀔지는 미지수

해외 평가 기준[편집]

탑: 더샤이

정글: 벵기

미드: 페이커

원딜: 우지

서포터: 마타


해외에서는 벵기-페이커의 듀오를 역대최고 호흡이라고 평가하는 편이 많다.

또다른 특이사항으로는 커리어상으로는 이 역체원이지만 해외, 특히 유럽쪽에서는 뱅을 버스원딜이라고 폄하하는 평가가 많고 우지를 올려치기하는 편이다...

우지의 경우는 커리어는 부족해도 전성기가 매우 길었고 항상 세체원에 가까운 미친 폼을 보여주었기에 꼽히는 편이다.

마타도 울프에 비해 커리어는 부족하지만 흔히 탈수기 운영이라 불리는 LCK식 운영을 창시했고 본인도 롤드컵 MVP까지 먹었기에 높은 평가를 받는다.

탑은 워낙 무주공산의 라인이다보니 역체를 꼽기 매우 힘든데 더샤이의 경우 18년 이후 가장 꾸준했고 커리어로도 딱히 밀릴게 없기에 보통 역체로 꼽힌다.[4]

역체롤[편집]

역체라인의 번외편으로 "역대 최고의 LOL 선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인데 이건 국내외를 막론하고 페이커가 압도적으로 지지받는다.

애초에 페이커 국제대회 커리어를 뛰어넘긴 커녕 근접하는 선수조차 없다. 이것만으로도 역체롤인 이유는 충분하다.

ㄴ 그나마 근접한 선수가 있다면 MSI 3회 우승자인 샤오후와 밍. 월즈 1회, MSI 1회 우승자인 폰 정도? 근데 그마저도 결격사유가 많다.

라이엇도 롤드컵 뮤비에 페이커를 3번씩이나 등장시켰고(레네다까지 포함하면 4번), 테이크오버 뮤비에서는 넘어서야할 적으로 나오는 다른 우승 선수들과 다르게 페이커는 조력자로써의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라이엇 또한 페이커를 역체롤 대우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2020년부터 다시 동남아 리그에 편입되었다.
  2. 2013년에도 우승했지만 이땐 따로 MVP를 선정하진 않았다.
  3. 듀크가 월즈 2회+ msi 1회 우승을 거두긴 했으나 월즈 우승 1번은 서브로 거둔 성과라 취급안한다.
  4. 다른 역체 후보들과 비교해보자면 큐베는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으로 커리어만 놓고 본다면 가장 앞서있으나 매년 리그에서 부진했기에 평가절하당하며 마린의 경우는 15년만 놓고보자면 반박불가 최고의 선수이나 문제는 그 15년을 제외한다면 이렇다할 커리어가 없어 꾸준함에서 지적받으며 듀크는 월즈 2회우승으로 유일한 탑 라인 월즈 2회 우승자이나 한 번은 서브로 우승했고 주전으로 우승한 16년도 큐베, 스멥과 같은 경쟁자들에 비해 임팩트가 없어 평가절하당했다. 스멥은 전성기가 총 4년으로 가장 꾸준했으나 막상 국제대회 우승이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