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조무위키

이 문서는 한자 및 한자어에 대해 다룹니다.


기 치
부수 (수건건) 획수 15획
교육용 범위 외 급수 1급
신자체 없음
일본어 음독 (呉・漢)シ

일본어 훈독 しるし
のぼり

일본 국어시책 범위 외
JIS JIS 제2수준
칸켄 급수 1급
간체자

표준 중국어 병음 zhì

한중일 통합 한자
U+5E5E
U+5E5F
U+5E60
- 토론

기 치

개요[편집]

기(旗), 깃발, 표지, 표기(標旗), 기치(旗幟) 등을 뜻하는 한자. 는 짱깨 간체자이다.

부수는 수건건()이며 획수는 총 15획이다.

유니코드에선 U+5E5F, 한자검정시험에서는 1급에 배정되어 있다.

유의자[편집]

  • (기 기)
  • (기 당/드리워진 모양 동)
  • (기 독/둑/도)
  • (깃발/날 번)
  • (기 정)
  • (기 치)
  • (기 치)
  • (기 휘)

용례[편집]

단어[편집]

  • 치반(幟半): 갑옷 위에 꽂는 작은 깃발.
  • 기치(旗幟): ① 옛날 군중(軍中)에서 쓰던 깃발 ② 어떤 목적을 위하여 내세우는 태도나 주장 ③ 기의 표지(標識)
  • 백치(白幟) = 백기(白旗)
  • 신치(新幟)
  • 이치(鯉幟): 잉어등. 사월 초파일(初八日)에 등대에 매다는 잉어 모양의 등.
  • 정치(旌幟), 적치(赤幟), 치백(幟帛): 깃발.
  • 주치(酒幟)
  • 초치(初幟)
  • 표치(標幟) = 표지(標識)
  • 휘치(麾幟): 신호용 깃발. (= 정휘(旌麾), 휘정(麾旌), 휘당(麾幢), 휘보(麾葆))

고사성어/숙어[편집]

  • 기치선명(旗幟鮮明): 자신의 주의(主義)나 지론, 입장이 뚜렷한 것. 기치(旗幟)는 기와 깃발이라는 의미로부터, 주의(主義)나 지론의 비유. 선명(鮮明)은 뚜렷하게 구분 가능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