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우분투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6번째 줄: 16번째 줄:
|UI = [[그놈]]{{위 첨자|(17.10부터)}}, Unity{{위 첨자|(11.04 ~ 17.04)}}
|UI = [[그놈]]{{위 첨자|(17.10부터)}}, Unity{{위 첨자|(11.04 ~ 17.04)}}
|지원되는 플랫폼= [[x86-64]], [[32비트|IA-32]]{{위 첨자|(바이오닉 비버까지)}}, [[ARM 아키텍처|ARMv7]]{{위 첨자|(바이오닉 비버까지)}}, [[ARM 아키텍처|ARMv8]]
|지원되는 플랫폼= [[x86-64]], [[32비트|IA-32]]{{위 첨자|(바이오닉 비버까지)}}, [[ARM 아키텍처|ARMv7]]{{위 첨자|(바이오닉 비버까지)}}, [[ARM 아키텍처|ARMv8]]
|상태= '''지원 중인 LTS'''<br>- 20.04.3 포컬 포사(Focal Fossa)<br>- 22.04 재미 젤리피시(Jammy Jellyfish)<br>- 24.04 노블 넘뱃(Noble Numbat)<br>'''지원 중인 일반 버전'''<br>- 23.10 맨틱 미노타우로스(Mantic Minotaur)<br>'''개발 중'''<br>
|상태= '''지원 중인 LTS'''<br>-18.04.5 바이오닉 비버(Bionic Beaver)<br>- 20.04.3 포컬 포사(Focal Fossa)<br>- 22.04 재미 젤리피시(Jammy Jellyfish)<br>'''지원 중인 일반 버전'''<br>- 21.04 허수트 히포(Hirsute Hippo)<br>- 21.10 임피시 인드리(Impish Indri)<br>'''개발 중'''<br>- 22.10 키네틱 쿠두(Kinetic Kudu)
|웹사이트 = https://ubuntu.com/
|웹사이트 = https://ubuntu.com/
}}
}}
27번째 줄: 27번째 줄:
간편한 설치와 유지보수 덕분에 리눅스 민트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배포판 중 하나다. 데스크탑으로 유명하지만 의외로 [[서버]]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워낙 많이 쓰이기 때문에 문제도 생겨도 [[구글링]] 한번이면 해결이 가능하다. 고로 리눅스 입문하려는 사람은 앵간하면 우분투를 먼저 접해보도록 해라.
간편한 설치와 유지보수 덕분에 리눅스 민트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배포판 중 하나다. 데스크탑으로 유명하지만 의외로 [[서버]]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워낙 많이 쓰이기 때문에 문제도 생겨도 [[구글링]] 한번이면 해결이 가능하다. 고로 리눅스 입문하려는 사람은 앵간하면 우분투를 먼저 접해보도록 해라.


2024년 2월 기준으로 23.10가 최신 버전인데 지원기간이 올 해 7월이 끝이다. 이럴거면 차라리 2027년까지 지원하는 22.04를 쓰든가, 좀 기다려서 올 해 4월에 출시되는 24.04를 쓰는 게 낫다. 그런데 애초에 일반인들은 리눅스를 잘 모른다.
2017년 6월 기준으로 17.04가 최신 버전인데 지원기간이 2018년이 끝이다. 이럴거면 차라리 2021년까지 지원하는 16.04를 쓰든가, 좀 기다려서 2018년 4월에 출시되는 18.04를 쓰는 게 낫다. 그런데 애초에 일반인들은 리눅스를 잘 모른다.


ㄴ MS오피스+포토샵+액티브엑스 강요하는 한국에서는 쓰는사람 극히 적음. 액티브엑스는 대부분 [[와인(소프트웨어)|와인]]에서 Garbage 등급 받아서 좆나 답없다.
ㄴ MS오피스+포토샵+액티브엑스 강요하는 한국에서는 쓰는사람 극히 적음. 액티브엑스는 대부분 [[와인(소프트웨어)|와인]]에서 Garbage 등급 받아서 좆나 답없다.
42번째 줄: 42번째 줄:
* 우분투 특유의 주황색 커스터마이징이 들어가서 한국에선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플랫 디자인이 도입된 야루 테마는 괜찮아졌지만 주황색 커스터마이징은 여전하다. 색깔이 불만이라면 Yaru-Colors 테마 다운받아서 쓰자. 능력이 된다면 css 개조를 해보던가.
* 우분투 특유의 주황색 커스터마이징이 들어가서 한국에선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플랫 디자인이 도입된 야루 테마는 괜찮아졌지만 주황색 커스터마이징은 여전하다. 색깔이 불만이라면 Yaru-Colors 테마 다운받아서 쓰자. 능력이 된다면 css 개조를 해보던가.
* 18.04까지는 로그인하면 북치는 소리가 나왔었다. 18.10부터는 Yaru 테마가 도입되면서 로그인 소리를 따로 설정해야만 나오는데, 사실 Yaru 사운드의 로그인 소리는 우분투 터치의 벨소리인 Ubuntu의 변형이다.
* 18.04까지는 로그인하면 북치는 소리가 나왔었다. 18.10부터는 Yaru 테마가 도입되면서 로그인 소리를 따로 설정해야만 나오는데, 사실 Yaru 사운드의 로그인 소리는 우분투 터치의 벨소리인 Ubuntu의 변형이다.
* [[스냅크래프트|Snap]]이라는 자체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가 탑재되어 있다. ㄹ데 이게 라이선스 때문에 말이 많아서 리눅스 민트 같은 우분투 기반 변형판에서는 아예 없애버리기도 한다. 22.04 LTS 버전부터 파이어폭스가 Snap으로 이전되었는데, 이전 DEB을 통한 설치를 원한다면 별도의 과정을 거치거나 지원 종료가 얼마 남지 않은 20.04 LTS를 쓰거나 민트 21, 엘리멘트리OS 7 존버타야 한다.
* [[스냅크래프트|Snap]]이라는 자체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가 탑재되어 있다. ㄹ데 이게 라이선스 때문에 말이 많아서 리눅스 민트 같은 우분투 기반 변형판에서는 아예 없애버리기도 한다. 22.04 LTS 버전부터 파이어폭스가 Snap으로 이전되었는데, 이전 DEB을 통한 설치를 원한다면 별도의 과정을 거치거나 민트 21, 엘리멘트리OS 7 존버타야 한다.


== Ubuntu Customization Kit ==
== Ubuntu Customization Kit ==
59번째 줄: 59번째 줄:
유니티의 영향 때문인지 왼쪽 독바를 고집하고 있다. 다만, 왼쪽 독바 자체는 괜찮은 편이다.
유니티의 영향 때문인지 왼쪽 독바를 고집하고 있다. 다만, 왼쪽 독바 자체는 괜찮은 편이다.


17.10 버전부터 그놈으로 갈아타서 이젠 미인증 배포판에서만 쓰인다. 다만, 우분투 공식 PPA에는 아직도 남아있다. 설치할거면 GDM3 삭제하고 설치해라. 동시에 Ubuntu Gnome란 파생 배포판은 자연스레 개발 중단되었다.
17 버전부터 그놈으로 갈아타서 이젠 미인증 배포판에서만 쓰인다. 다만, 우분투 공식 PPA에는 아직도 남아있다. 설치할거면 GDM3 삭제하고 설치해라. 동시에 Ubuntu Gnome란 파생 배포판은 자연스레 개발 중단되었다.


그래도 유니티를 선호하는 유저들도 있는 만큼 Ubports에서 개발 중인 로미리(Lomiri, 원래는 유니티8이었으나 동명의 게임엔진과 혼동을 막기 위해 변경됨)와 우분투 유니티 팀에서 개발 중인 유니티X(UnityX)가 개발되고 있다. 물론 둘 다 완성되지는 않았다.
그래도 유니티를 선호하는 유저들도 있는 만큼 Ubports에서 개발 중인 로미리(Lomiri, 원래는 유니티8이었으나 동명의 게임엔진과 혼동을 막기 위해 변경됨)와 우분투 유니티 팀에서 개발 중인 유니티X(UnityX)가 개발되고 있다. 물론 둘 다 완성되지는 않았다.
66번째 줄: 66번째 줄:
{{예토전생}}
{{예토전생}}


그런데 우분투 유니티가 22.10부터 정식 변형판에 편입되었다!
그런데 우분투 유니티가 23.04부터 정식 변형판에 편입되었다!


== 버전 ==
== 버전 ==
연도.월 구조로 버전이 결정되고 코드네임이 모두 형용사 + 동물 조합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 버전이 나올 때마다 ABC순으로 코드네임의 약칭이 바뀌고 Z 다음으로는 뒤로 가지 않고 A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래서 첫 버전은 1.0이 아니라 4.10이다. 아쉽게도 Shangus 버전은 나온 적이 없다. 나오더라도 2025년 말에 나오겠지.
연도.월 구조로 버전이 결정되고 코드네임이 모두 형용사 + 동물 조합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 버전이 나올 때마다 ABC순으로 코드네임의 약칭이 바뀌고 Z 다음으로는 뒤로 가지 않고 A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래서 첫 버전은 1.0이 아니라 4.10이다. 아쉽게도 Shangus 버전은 나온 적이 없다. 나오더라도 2025년 말에 나오겠지.


또한, 17.10 버전부터 유니티를 버리고 [[그놈]]으로 갈아탔다. 다만, 독 위치는 유니티랑 비슷하며, 유니티 자체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7 버전부터 유니티를 버리고 [[그놈]]으로 갈아탔다. 다만, 독 위치는 유니티랑 비슷하며, 유니티 자체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우분투 최신 버전 출시 간격은 홀수년도 4월, 10월에 일반 버전이 나오고 짝수년도 4월에는 LTS 버전이 나온다.
참고로 우분투 최신 버전 출시 간격은 홀수년도 4월, 10월에 일반 버전이 나오고 짝수년도 4월에는 LTS 버전이 나온다.


=== 일반 버전 ===
=== 일반 버전 ===
9개월간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Windows 10이랑 비슷하다. 또한, 17.10, 19.10, 21.10, 23.10 등 LTS 버전 출시 6개월 전에 나온 버전은 차기 LTS의 미리보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9개월간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Windows 10이랑 비슷하다. 또한, 17.10, 19.10, 21.10 등 LTS 버전 출시 6개월 전에 나온 버전은 차기 LTS의 미리보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21.04 Hirsute Hippo(허수트 히포) - 2022년에 지원이 종료되었다.
*21.04 Hirsute Hippo(허수트 히포) - 2022년에 지원이 종료될 예정이다.
** 그놈 버전은 그루비 고릴라랑 동일하다. 왜냐하면 기본 테마인 야루가 GTK4를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놈 40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 그놈 버전은 그루비 고릴라랑 동일하다. 왜냐하면 기본 테마인 야루가 GTK4를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놈 40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21.10 Impish Indri(임피시 인드리) - 현재 개발버전이 나왔으며, 2021년 10월에 출시되었으며, 데일리 빌드에서 그놈 40 기본 적용이 확인되었다. 물론 우분투 특유의 왼쪽 독은 여전하다. 개노니컬이 제대로 미쳤는지 [[모질라 파이어폭스|과폭]]도 스냅 버전으로 대체하였다. 스냅 버전으로 바뀐 [[크로미움]]도 우분투용 ppa가 있으니 양덕들이 우분투용 과폭 ppa 만들어주겠지. 하지만 PPA 과폭은 여전히 남아있다. 근데 이것도 22.04 LTS에서는 없앨 듯.
*21.10 Impish Indri(임피시 인드리) - 현재 개발버전이 나왔으며, 2021년 10월에 출시될 예정이며, 데일리 빌드에서 그놈 40 기본 적용이 확인되었다. 물론 우분투 특유의 왼쪽 독은 여전하다. 개노니컬이 제대로 미쳤는지 [[모질라 파이어폭스|과폭]]도 스냅 버전으로 대체하였다. 스냅 버전으로 바뀐 [[크로미움]]도 우분투용 ppa가 있으니 양덕들이 우분투용 과폭 ppa 만들어주겠지. 하지만 PPA 과폭은 여전히 남아있다. 근데 이것도 22.04 LTS에서는 없앨 듯.
*22.10 Kinetic Kudu(키네틱 쿠두) - 2022년 10월에 출시되었으며 유니티가 다시 정식적으로 도입되었다.
*{{ㅊ|22.10 Kinetic Kudu(키네틱 쿠두)}} - 개발 중.


=== LTS(장기 지원 버전) ===
=== LTS(장기 지원 버전) ===
5년간 기술지원을 제공하며(우분투 프로에 가입하면 10년), 짝수 연도마다 새 버전이 나온다. 즉, 재미 젤리피시의 차기 버전은 24.04 NN이다.
5년간 기술지원을 제공하며, 짝수 연도마다 새 버전이 나온다. 즉, 포컬 포사의 차기 버전은 22.04 JJ이다.


또한, 일반 버전 출시 2개월 전에는 HWE가 적용된 포인트 릴리즈 버전이 나오며, 최신 버전의 패키지들을 LTS로 옮긴 백포팅 저장소도 있다. 다만, 그놈 버전은 그대로다.
또한, 일반 버전 출시 2개월 전에는 HWE가 적용된 포인트 릴리즈 버전이 나오며, 최신 버전의 패키지들을 LTS로 옮긴 백포팅 저장소도 있다. 다만, 그놈 버전은 그대로다.


*18.04 Bionic Beaver(바이오닉 비버) - 현재 기술 지원이 종료된 상태이며, 32비트를 지원하는 마지막 버전이다.
*18.04 Bionic Beaver(바이오닉 비버) - 현재 기술 지원 중이며, 32비트를 지원하는 마지막 버전이다.
** 디스플레이 서버가 XOrg로 변경되었다. 실제로 바이오닉 비버에서 웨이랜드 쓰면 매우 불안정하다.
** 디스플레이 서버가 XOrg로 변경되었다. 실제로 바이오닉 비버에서 웨이랜드 쓰면 매우 불안정하다.
*20.04 Focal Fossa(포컬 포사) - 현재 기술 지원 중이며, 이 버전부터는 LTS도 64비트만 지원한다. 리눅스 커널 버전은 20.04.3 기준 5.11이다. 인텔 11세대 이후 하드웨어의 지원이 불안정하므로 새 놋북으로 리눅스에 입문할 생각이라면 22.04 JJ 나올 때까지 일반버전 쓰면서 버티거나 명령어가 같은 데비안을 쓰거나, 아님 만자로를 써라.
*20.04 Focal Fossa(포컬 포사) - 현재 기술 지원 중이며, 이 버전부터는 LTS도 64비트만 지원한다. 리눅스 커널 버전은 20.04.3 기준 5.11이다. 인텔 11세대 이후 하드웨어의 지원이 불안정하므로 새 놋북으로 리눅스에 입문할 생각이라면 22.04 JJ 나올 때까지 일반버전 쓰면서 버티거나 명령어가 같은 데비안을 쓰거나, 아님 만자로를 써라.
95번째 줄: 95번째 줄:
*22.04 Jammy Jellyfish(재미 젤리피시) - 웨이랜드가 기본이며, X11은 레거시로 남아 있다. 아마 21.10에서 과폭이 스냅당했으니 22.04에서도 스냅 과폭이 들어가지 않을까 싶다. 그놈 버전은 40 아니면 41이 적용될 듯. 하지만 최근 빌드에서 그놈 42 베타 적용이 확인되었으며, 야루 테마도 그놈 42에서 개편된 애드와이타의 디자인에 맞춰 자주색이 사라지고 주황색 강조만 들어갔다. 3월 25일 빌드는 색상 변경 기능도 생겼다. 우분투에 있었던 다크모드 설정을 도입한 그놈 42랑 다르게, 이건 순정 그놈에서는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 현재 정식 릴리즈 상태다.
*22.04 Jammy Jellyfish(재미 젤리피시) - 웨이랜드가 기본이며, X11은 레거시로 남아 있다. 아마 21.10에서 과폭이 스냅당했으니 22.04에서도 스냅 과폭이 들어가지 않을까 싶다. 그놈 버전은 40 아니면 41이 적용될 듯. 하지만 최근 빌드에서 그놈 42 베타 적용이 확인되었으며, 야루 테마도 그놈 42에서 개편된 애드와이타의 디자인에 맞춰 자주색이 사라지고 주황색 강조만 들어갔다. 3월 25일 빌드는 색상 변경 기능도 생겼다. 우분투에 있었던 다크모드 설정을 도입한 그놈 42랑 다르게, 이건 순정 그놈에서는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 현재 정식 릴리즈 상태다.
** 그놈 42가 적용되었지만, 일부 요소는 그놈 41을 유지한다.
** 그놈 42가 적용되었지만, 일부 요소는 그놈 41을 유지한다.
*24.04 Noble Numbat(노블 넘뱃) - 지원 기간이 12년으로 늘어났다.


== 파생 ==
== 파생 ==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