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Windows 98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3번째 줄: 13번째 줄:
[[File:Win98logo.png|thumb|Windows 98 logo|alt=win98logo.png]]
[[File:Win98logo.png|thumb|Windows 98 logo|alt=win98logo.png]]


Windows 98은 [[1998년]] [[6월 25일]] 미국에서, [[1998년]] [[8월 11일]] 한국에서 정식 출시된 9x 기반 운영체제로, [[Windows 95]]의 정식 후속작이자 대규모 개량판이다. 성공한 9x 기반 운영체제 한정으로 DOS에 의존하는 마지막 운영체제이기도 하다. [[2013년]] [[5월 31일]]부로 98 SE, ME와 함께 공식 지원을 종료하였다.
Windows 98은 [[1998년]] [[6월 25일]] 미국에서, [[1998년]] [[8월 11일]] 한국에서 정식 출시된 9x 기반 운영체제로, [[Windows 95]]의 정식 후속작이자 대규모 개량판이다. 성공한 9x 기반 운영체제 한정으로 DOS에 의존하는 마지막 운영체제이기도 하다. [[2006년]] [[7월 11일]]부로 98 SE, ME와 함께 공식 지원을 종료하였다.


개발 시기는 [[Windows 95]]가 발매된 지 1년이 지난 [[1996년]] [[12월]]부터 시작하여 장장 1년 5개월의 기간을 자랑한다. [[Windows 95]]의 업그레이드판이라 개발 기간이 매우 짧은 편이다. 당시 운영체제의 개발 기간을 최소 2년~3년 반으로 잡아야 완성품이 나온다고 믿었던 때라 비교적 짧은 개발 기간이 매우 돋보인 편이었다. 물론 이 이야기는 발매된 지 5년도 더 뒤에야 알려지게 되며, 당시에는 이 이야기가 별로 유명하지 않았고 대중들의 관심은 완성품에 있지, 개발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개발 시기는 [[Windows 95]]가 발매된 지 1년이 지난 [[1996년]] [[12월]]부터 시작하여 장장 1년 5개월의 기간을 자랑한다. [[Windows 95]]의 업그레이드판이라 개발 기간이 매우 짧은 편이다. 당시 운영체제의 개발 기간을 최소 2년~3년 반으로 잡아야 완성품이 나온다고 믿었던 때라 비교적 짧은 개발 기간이 매우 돋보인 편이었다. 물론 이 이야기는 발매된 지 5년도 더 뒤에야 알려지게 되며, 당시에는 이 이야기가 별로 유명하지 않았고 대중들의 관심은 완성품에 있지, 개발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플로피 디스크로 발매되는 마지막 운영체제로, 1.44MB 3.5인치 디스켓 기준 무려 39장이라는 미친 개수를 자랑한다. 물론 CD로는 1장 정도면 땡이다.
플로피 디스크로 발매되는 마지막 운영체제로, 1.44MB 3.5인치 디스켓 기준 무려 39장이라는 미친 개수를 자랑한다. 물론 CD로는 1장 정도면 땡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6를 지원하는 가장 오래된 가정용 운영체제이기도 한데, 95에서는 5.5가 끝이다. [[2000년]] [[12월 31일]]에 일반 지원을 종료하여 6를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98은 [[2002년]] [[6월 30일]]에 일반 지원을 종료하였기에 6을 지원할 수 있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6는 [[2001년]] [[8월]]에 정식 출시하였기 때문이다. 참고로 IE6을 지원하는 가장 오래된 윈도우는 NT 4.0 SP6이다.


== 새롭게 추가되었거나 향상된 기능 ==
== 새롭게 추가되었거나 향상된 기능 ==
43번째 줄: 45번째 줄:
USB 지원 강화, 지원 드라이버 확대, 인터넷 익스플로러 5, 아웃룩 익스프레스 5, 넷미팅 3 등 당시 기준으로 최신 소프트웨어들을 기본적으로 탑재하여 인터넷 지원을 개선하였고,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가정용 네트워킹인 홈 네트워킹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6.1, DirectX 6.1을 탑재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대폭으로 확대하였다. 처음으로 DVD-ROM 기능을 지원하는 첫 운영체제이기도 하다. 플로피가 건재했던 1999년에 말이다!
USB 지원 강화, 지원 드라이버 확대, 인터넷 익스플로러 5, 아웃룩 익스프레스 5, 넷미팅 3 등 당시 기준으로 최신 소프트웨어들을 기본적으로 탑재하여 인터넷 지원을 개선하였고, 인터넷 연결 공유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가정용 네트워킹인 홈 네트워킹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6.1, DirectX 6.1을 탑재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대폭으로 확대하였다. 처음으로 DVD-ROM 기능을 지원하는 첫 운영체제이기도 하다. 플로피가 건재했던 1999년에 말이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10까지 지원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6(디키 접속 불가)까지 지원한다. 참고로 파이어폭스는 15.0까지 오페라는 10.10까지 사용 가능하고 디키 접속도 가능하니 고전겜 덕후라면 고전겜용 컴으로도 디키 가능하다. TLS 1.2 이상 웹 페이지는 Retrozilla를 이용하자.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9까지 지원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6(디키 접속 불가)까지 지원한다. 참고로 파이어폭스는 2.0까지 오페라는 10.10까지 사용 가능하고 디키 접속도 가능하니 고전겜 덕후라면 고전겜용 컴으로도 디키 가능하다. TLS 1.2 이상 웹 페이지는 Retrozilla를 이용하자.


== 출시 이후의 이야기들 ==
== 출시 이후의 이야기들 ==
49번째 줄: 51번째 줄:


허나 보안 문제는 95보다는 안전하지만, 당시 기준으로도 불안정했고 스크립트 엔진 결함 등 상당한 버그가 질리도록 보고되었다. 이것은 9x 커널 자체의 구조적인 오류라 고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블루스크린 역시 95에 비해서 드물게 뜰 뿐 최신예 커널인 NT에 비하면 매우 많이 뜨는 편이었고, 이걸 일부러 보기 위한 유저들이 속출했다고 한다. 보는 방법은 실행 창을 열고 C:\CON\CON를 치면 바로 떴으며 Ctrl+Alt+Del를 여러 번 눌러도 떴을 지경이다. SE에서는 \CON\CON만 쳐야 떴다.<ref>2020년대에서는 리콜 혹은 수리점이 답이라고 할 정도로 불안정했는데, 사소한 오류 하나만 걸려도 바로 블루스크린을 띄워버렸으니 말 다 했다. 더 가관인 것은 '''컴퓨터를 끌 때 블루스크린을 띄워 먹통이 된 사례'''도 있었는데 이렇게 될 경우 본체 전원을 3초 이상 눌러서 강제로 종료해야만 해결되었다. 하드 디스크에 심한 타격을 주기 때문에 수리점을 방문해야 했던 건 덤이다.</ref>
허나 보안 문제는 95보다는 안전하지만, 당시 기준으로도 불안정했고 스크립트 엔진 결함 등 상당한 버그가 질리도록 보고되었다. 이것은 9x 커널 자체의 구조적인 오류라 고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블루스크린 역시 95에 비해서 드물게 뜰 뿐 최신예 커널인 NT에 비하면 매우 많이 뜨는 편이었고, 이걸 일부러 보기 위한 유저들이 속출했다고 한다. 보는 방법은 실행 창을 열고 C:\CON\CON를 치면 바로 떴으며 Ctrl+Alt+Del를 여러 번 눌러도 떴을 지경이다. SE에서는 \CON\CON만 쳐야 떴다.<ref>2020년대에서는 리콜 혹은 수리점이 답이라고 할 정도로 불안정했는데, 사소한 오류 하나만 걸려도 바로 블루스크린을 띄워버렸으니 말 다 했다. 더 가관인 것은 '''컴퓨터를 끌 때 블루스크린을 띄워 먹통이 된 사례'''도 있었는데 이렇게 될 경우 본체 전원을 3초 이상 눌러서 강제로 종료해야만 해결되었다. 하드 디스크에 심한 타격을 주기 때문에 수리점을 방문해야 했던 건 덤이다.</ref>
여담으로 윈도우 98을 원활하게 돌리려면 최소 64MB의 램을 장착해야 했다. 16MB에서는 설치가 제대로 안 되었고, 32MB에서는 버벅거렸을 정도로 사양을 의외로 많이 탔기 때문이다.


윈도우 98 SE라고 해도 이 문제에서 완벽히 벗어날 수는 없었다. 똑같은 9x 커널을 썼기 때문에 DOS가 없으면 돌아갈 수 없었지만, 이것 덕에 DOS 기반으로 제작된 90년대 옛날 게임들에 대한 호환성은 상당한 수준을 보여 주었다.
윈도우 98 SE라고 해도 이 문제에서 완벽히 벗어날 수는 없었다. 똑같은 9x 커널을 썼기 때문에 DOS가 없으면 돌아갈 수 없었지만, 이것 덕에 DOS 기반으로 제작된 90년대 옛날 게임들에 대한 호환성은 상당한 수준을 보여 주었다.
55번째 줄: 59번째 줄:


=== 최소 사양 (세컨드 에디션 기준) ===
=== 최소 사양 (세컨드 에디션 기준) ===
CPU:33Mhz의 80386DX 이상
CPU:66Mhz의 80386DX2 이상


램:16MB 이상
램:16MB 이상
63번째 줄: 67번째 줄:
하드 디스크 용량: 300MB 이상
하드 디스크 용량: 300MB 이상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필수, CD-ROM 필수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필수, CD-ROM 선택


=== 권장 사양(한글판을 포함, 1998년 기준 평균 사양) ===
=== 권장 사양(한글판을 포함, 1998년 기준 평균 사양) ===
CPU:300Mhz의 펜티엄 2 이상
CPU:120Mhz의 펜티엄 2 이상


램: 64MB 이상
램: 64MB 이상
77번째 줄: 81번째 줄:


=== 최적 사양(2000년 기준 평균 사양) ===
=== 최적 사양(2000년 기준 평균 사양) ===
CPU:733Mhz의 펜티엄 3 이상
CPU:233Mhz의 펜티엄 3 이상


램:512MB 이상
램:256MB 이상


모니터 해상도: 1024x768 이상
모니터 해상도: 1024x768 이상
87번째 줄: 91번째 줄: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필수, DVD-ROM 선택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필수, DVD-ROM 선택


2000년 기준에 맞춘 최상급 사양으로, 당연하겠지만 2024년 기준으로는 조선컴 사양이다. 사실 가상머신이 아니더라도 인텔 i5-550까지 설치가 가능하며 SSD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없다. 어차피 그런 짓을 할 이유도 없고. 윈도우 98은 SSD와 듀얼 코어를 지원하지 않는 구식 운영체제이기 때문이다.
2002년 기준에 맞춘 최상급 사양으로, 당연하겠지만 2020년 기준으로는 조선컴 사양이다. 사실 가상머신이 아니더라도 인텔 i5까지 설치가 가능하며 SSD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없다. 어차피 그런 짓을 할 이유도 없고. 윈도우 98은 SSD와 듀얼 코어를 지원하지 않는 구식 운영체제이기 때문이다.
 
=== 최고 사양 ===
CPU:i5-550
 
램:1GB
 
모니터 해상도: 1440x1080
 
하드 디스크 용량: 60GB
 
디스크 드라이브: DVD-RW


== 여담 ==
== 여담 ==
[[일본]]에서 [[컴퓨터]] 얘기하다가 98이라고 하면 [[아재]]들은 [[NEC]] PC-98 시리즈([[PC-9801|PC-9801, PC-9821]])를 떠올리고 젊은 사람들은 윈도우 98을 떠올린다고 한다. 상전벽해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부분. 그러나 이제는 윈도우 98을 떠올려도 아재 취급을 받는다.
[[일본]]에서 [[컴퓨터]] 얘기하다가 98이라고 하면 [[아재]]들은 [[NEC]] PC-98 시리즈([[PC-9801|PC-9801, PC-9821]])를 떠올리고 젊은 사람들은 윈도우 98을 떠올린다고 한다. 상전벽해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부분. 그러나 이제는 윈도우 98을 떠올려도 아재 취급을 받는다.


2024년 현재, 윈도우 98과 호환되는 프로그램은 매우 드물며, 기술 지원이 종료되어 실사용으로 하기는 무리가 있다.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보안이 매우 취약하여, 네트워크에 연결 시 1분도 안 되어서 뚫려버릴 정도이니 얌전히 오프라인에서 쓰도록 하자. 너무 구식 시스템이라 요즘 나오는 최신식 장치에는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기에 굳이 쓸려면 따로 가상머신을 깐 후 구글에서 ISO 파일을 찾아 써야 한다. (여기에서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http://monsterjohan.tistory.com/21]가상머신에 적합하며, 산업장비에서는 쓸 수 없다) 고전겜용 똥컴(1990년대 기준 고사양 컴퓨터)을 어떻게든 구해서 윈도우를 깔아도 랜선 뽑고 쓰자.
2018년 현재, 윈도우 98과 호환되는 프로그램은 매우 드물며, 기술 지원이 종료되어 실사용으로 하기는 무리가 있다.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보안이 매우 취약하여, 네트워크에 연결 시 1분도 안 되어서 뚫려버릴 정도이니 얌전히 오프라인에서 쓰도록 하자. 너무 구식 시스템이라 요즘 나오는 최신식 장치에는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기에 굳이 쓸려면 따로 가상머신을 깐 후 구글에서 ISO 파일을 찾아 써야 한다. (여기에서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http://monsterjohan.tistory.com/21]가상머신에 적합하며, 산업장비에서는 쓸 수 없다) 고전겜용 똥컴(1990년대 기준 고사양 컴퓨터)을 어떻게든 구해서 윈도우를 깔아도 랜선 뽑고 쓰자.


== 연표 및 빌드 ==
== 연표 및 빌드 ==
조무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CC BY-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조무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