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야구 글러브

조무위키

야구 경기 도중 수비측 선수들이 공격측 선수를 아웃시키 위해서는 주먹만한 공을 빨리빨리 전달해야 하는데 초창기에는 그냥 조그만 가죽장갑 하나 끼고 했지만 그러다 보면 손이 아프니까 자꾸자꾸 두껍고 커져서 오늘날의 야구 글러브에 이르렀다. 주로 소가죽으로 제작되지만 문구점이나 대형마트에서 파는 몇만원짜리들은 그냥 합성섬유나 돼지가죽으로 만든다

유니폼을 입고 야구를 하는 플레이어 한명한명의 외적인 개성을 확 티나게 나타낼 거의 유일하다시피 한 요소이기에 디자인이 셀 수 없이 다양하다. 이런 역할을 하는 물건들이 대개 그렇듯 비쌀려면 진짜 애미없이 비싸진다. 하지만 애초에 야구를 취미로 하는 사람들은 돈 좀 있는 경우가 많아서 힘없는 땅볼처리도 한 포지션 수비하기도 버거운 사회인야구 아재들 틈에서 진귀한 수십수백짜리 포지션별 일본제 오더를 구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야수들은 좀 작은거 외야수들은 길쭉한 걸 쓰고 공 잡을 일이 상대적으로 많은 1루수와 포수는 더 크고 두꺼운 글러브를 쓴다. 그런건 미트라고 부른다.

수십에서 100만원단위로 넘어가는 고가형 글러브가 좋긴좋지만 메이저리거들도 애용하는 20만원 초반선의 윌슨 a2000 글러브로 야구를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 없다.

전술했듯 야구의 초창기에 글러브란 그저 손바닥만 가리는 얇은 가죽장갑이었기 때문에 빳다로 후려갈긴 공을 잡다보면 해져서 넝마 상태가 되어 있는 일이 다반사였으며

그 인식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미국에서는 글러브란 자고로 막 굴리는 소모품이란 인식이 강하다. 어차피 공놀이 하다 보면 금방 걸레짝 될 텐데 뭐하러 관리하나...라는 생각들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길들이는 데 시간을 쓰기가 아까우니 하드한(그리고 비싼) 글러브를 선호하지 않고, 진짜루다가 일제마냥 단단하고 예쁘고 비싸게 만든 글러브는 농담이 아니라 관상용(!)으로나 쓰인다. 진짜로 제조업체부터가 관상용으로 분류한다.

그에 비해 늦게 야구를 접한 한국 일본 쪽에서는 새로 산 직후에는 끼고 손도 못 오므리는 돌덩어리를 사서 각이 어쩌니 볼집이 어쩌니 혹여나 배꼽이라도 나올까 전문 업체에 돈주고 길을 들이고

간신히 써먹을 수 있게 만든 다음에도 좀 닳았다 싶으면 끈갈이 가죽갈이도 모자라 수명이 다한 글러브는 아예 완전 분해해서 접착제부터 새로 싸발라버려 소생시키는 등 신줏단지 모시듯 관리하는 것이 문화로 자리잡았다

아 물론 문화의 차이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