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화학평형

조무위키

이 문서는 과학지식이나 공돌이에 대해 다룹니다.
이 문서는 여러 사례와 분석에 의해 과학적 지식으로 입증된 것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항목과 관련된 종자는 매드 사이언티스트임이 틀림없습니다.
화학평형은(는) 과학입니다.
이 문서는 이과가 작성했거나, 또는 이과에 대해 다룹니다.
무슨 생각으로 작성한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맞는말임은 틀림 없습니다.
이과는 아다를 못 떼 마법을 쓰니까 말이죠...

화학의 개념[편집]

세상의 대다수의 화학반응은 정반응과 역반응이 공존하는 화학반응이다. 정반응속도와 역반응속도가 일치할때 이를 화학평형이라고 한다. 그냥 디키답게 쉽게 말하자면 화살표 양방향 그려진 반응식에서 반응물을 각각 계수번 제곱을 해서 곱한후 분모로 보내고 생성물을 똑같이 해서 분자로 보내면 그걸 반응상수 Q라고 하는데 이때 겉보기에 반응이 관찰 안되는 시점에서 각 화합물의 농도나 기체일경우는 압력을 대입하면 평형상수 K를 구할 수 있다.

관련법칙으로는 르 샤르틀리에의 원리가 있는데 쉽게 반응물이 많아지면 정반응, 생성물이 많아지면 역반응이라고 알면된다. 또 생성물 입자수가 많아지는 반응인데 온도가 오르거나 부피가 커지면 열을 흡수해서 입자수가 많아지거나 혹은 부피를 입자로 메우려고 입자수가 많아지는것도 그 예. 일반화학에서도 지겹게 나오지만 이녀석이 진정으로 쓸모가 있어지는건 생화학이다. 생화학에서 호흡,세포호흡같은 생화학 반응은 최소한 르 샤르틀리에의 원리도 숙지 안 하고 있으면 이해가 약간 난감할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