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조무위키

이 문서는 한자 및 한자어에 대해 다룹니다.


부리 취
부수 (입구) 획수 16획
교육용 범위 외 급수 준특급
신자체 없음
일본어 음독 (呉・漢)スイ[1]
(慣)シ

일본어 훈독 くちばし
はし

일본 국어시책 범위 외
JIS JIS 제2수준
칸켄 급수 1급
간체자 없음

표준 중국어 병음 zuǐ

한중일 통합 한자
U+5633
U+5634
U+5635
- 토론

부리 취

개요[편집]

부리, 주둥이, 사물의 뾰족한 끝부분, 돌기 등을 뜻하는 한자.

부수는 입구()이며 총 16획이다.

유니코드에선 U+5634,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준특급에 배정되어 있다.

용례[편집]

단어[편집]

  • 취검(嘴臉): ① 평판, 면목 ② 못생긴 얼굴
  • 취비(嘴鼻): 주둥이와 .
  • 취자(嘴子): 노즐.
  • 취조(嘴爪): 부리와 손톱.
  • 취황(嘴黃): 새끼의 노란 부리.
  • 기취(崎嘴): 산허구리가 날카롭게 뾰족 튀어나온 곳.
  • 납취(蠟嘴): 고지새. 밀화부리. 되샛과의 새.
  • 독취(毒嘴): 악독한 말을 옮기는 주둥이.
  • 동취(銅嘴): 솔잣새.
  • 봉취(鳳嘴)
  • 사취(砂嘴): 바다 가운데로 길게 뻗어 나간 둑 모양의 모래톱.
  • 삽취(揷嘴): 쓸데없이 말참견을 함.
  • 상취(上嘴)
  • 석취(石嘴): 돌부리.
  • 아취(鴉嘴): 호미.
  • 압취(鴨嘴): 오리의 부리.
  • 예취(銳嘴): (새의) 날카로운 부리.
  • 유취(乳嘴): 동물피부ㆍ유선(乳腺)ㆍ 등에 있는 젖꼭지 모양의 작은 돌기.
  • 이취(犂嘴): 쟁기의 끝부분. (= 이두(犂頭))
  • 지취(地嘴): 곶[岬].
  • 창취(搶嘴): 짱깨어. ① 앞다투어 말하는 것 ② 앞다투어 먹거나 빼앗아 먹는 것 ③ 남의 말을 가로채는 것. 말참견
  • 편취(諞嘴): 주둥이로 말하여 사람을 속이는 것.
  • 하취(下嘴)
  • 헐취(歇嘴): 입을 다무는 것. (= 헐구(歇口))
  • 활취(活嘴): 일본에서만 쓰이는 단어. 수도꼭지를 뜻하며, 가란(カラン)이라고 읽는다. 가란은 네덜란드어의 수도꼭지를 뜻하는 단어 카란(kraan)을 일본어로 옮겨온 것이다.
  • 취리해(嘴利害): 입이 사나움. 말이 험함.
  • 취세아(嘴細鴉), 취태아(嘴太鴉) : 까마귀.
  • 개취포(揩嘴布): 냅킨.
  • 거취조(巨嘴鳥): 천구의 남극 부근에 위치하는 한 성좌(星座).
  • 납취작(蠟嘴雀), (蠟嘴鳥): 고지새. (= 납취(蠟嘴))
  • 봉취도(鳳嘴刀): 봉황의 부리를 닮은 .
  • 침취어(針嘴魚): 공미어.
  • 옥연최(玉煙嘴): 옥으로 만든 물부리.
  • 광취호자(光嘴鬍子): 구레나룻.

고사성어/숙어[편집]

  • 칠취팔설(七嘴八舌): 일곱 개의 주둥이[嘴]와 여덟 개의 혀[舌]라는 뜻으로, 많은 의견이 여러 곳에서 나오는 것. 또는 많은 사람이 떠드는 모양.
  • 인각봉취(麟角鳳嘴): 매우 희귀한 것의 비유. 전설상의 영수(靈獸) 기린(麒麟)의 뿔과 봉황의 부리를 나타내는 뜻에서부터 유래되었다.

각주

  1. 칸켄 미배정 음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