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윤증

조무위키

이 문서는 머대리에 대해 다룹니다.
머리카락도 결국 털일 뿐입니다. 털이 없다는 건 성스럽고 진화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희망을 잃지 마십시오! (이봐 머대리, 머리 좀 기르세, //네 과장님 ㅠㅠ)
민머리 대머리 맨들맨들 빡빡이♩♪♬~ 민머리 대머리 맨들맨들 빡빡이♩♪♬~

[1]

윤증(1629~1714)은 조선 숙종 때의 학자 송시열의 제자이다. 호는 명재로, 수십년간 스승인 송시열과 회니시비 때문에 대립한 학자이다.

회니시비[편집]

송시열이 병자호란 때 친구들은 자결했는데 혼자 살아남은 사람이라고 비판한 자신의 아버지인 윤선거가 1669년에 죽은 뒤, 윤증이 송시열에게 아버지의 묘갈명을 써달라고 부탁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사건 때문에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졌다. 그 뒤, 윤증은 소론의 영수가 되고 송시열은 노론의 영수가 되었는데 사실 윤증이 묘갈명을 써달라고 부탁하기 전에도 사이가 안 좋았다. 왜냐하면 송시열이 자신의 아버지인 윤선도가 병자호란 때 자결하겠다고 친구들과 약속했는데 아버지를 핑계로 자기 혼자 살아남은 것을 비판하였기 때문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송시열과 윤증은 학문적 소견이 서로 달랐기 때문에 사이가 안 좋을 수 밖에 없었다.(물론 송시열이 학문적 고집이 쎄서 그런 것도 있고, 윤증이 송시열이 높이 떠받드는 주자를 비판해서 그럴 수도 있다.)하지만 송시열은 죽기 전까지 윤증과 화해하지 않았고 윤증도 송시열이 죽은 뒤, 25년을 더 살다가 사망하였다.

당파적 색채[편집]

앞에서도 말했듯이 윤증은 소론의 영수였고 송시열은 노론의 영수였다. 소론은 젊은 학자, 관리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중에서 송시열의 제자들도 있었다. 이들은 주로 송시열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노론은 송시열을 따르는 늙은 학자, 관리, 제자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윤증을 스승을 배신한 패륜아라고 비난하였다.

사망[편집]

그는 1714년(숙종 40년)에 86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고 말았다. 그가 죽을 때 까지 송시열에 대한 관리들의 논의는 계속된 상태였다. 또한 윤증이 세상을 떠나자 숙종은 매우 슬퍼하여서 추모시를 지었다.

"유림은 도덕을 숭상하고 소자도 일찍 흠앙했네 평생 한 번 만나보지 못했기에 사후에 한이 더 깊이지네."

  1. 초상화를 자세히보면 머리가 정수리까지 까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