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R 동일본

이 문서는 존나 진지합니다.
이 설명충 스피드왜건이 말해주지! 이곳엔 쓸데없이 많은 설명이 쓰여 있어! 여긴 디시위키다! 줄여라!
이 문서는 겁나 노잼입니다. 노잼 덩어리라서 건질 만한 정보가 없습니다.
위험! 이 문서는(엄격) 너무나도(근엄) 위백스럽습니다.(진지)
이 문서는 이미 철싸대가 지나갔습니다. 철싸대를 항상 경계합시다!
JR 동일본의 반에츠사이선에서 운용 중인 임시열차 후르티아의 모습으로, 사진의 차량은 719계 전동차를 개조한 것이다.

JR 동일본은 일본 철도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회사 중 하나다.

간토뿐만 아니라 호쿠리쿠, 조에츠 및 코신에츠 지방, 이와테 및 미야기 등 도호쿠 전역을 커버하는 대규모 교통망이지만 운임의 경우 대부분 사철한테 쳐발리고 있다..

하네다 같은 경우 모노레일을 운영하고 있지만 공항에서 시나가와 까지 12분 만에 주파하는 케이큐 전철이 등장해 밀림.(물론 하네다를 주파하는 도쿄모노레일의 자회사는 모노레일 에이전시 어쩌구 하는 회사인데 주주가 JR이다. 사실상 JR 것.)

당장 아래 문단에 링크된 나리타 익스프레스 항목만 봐도 경쟁업체인 케이세이한테 얼마나 쳐발리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현재 외국인을 위한 왕복 할인 승차권으로 산소호흡기가 달려있긴 하지만, 통찰력이 깊은 외국 관광객은 완전히 다른 회사인 케이세이 전철 소유의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뭐 일단 이들이 내새울 수 있는건 야마노테선, 츄오 본선, 케이힌토호쿠선, 도호쿠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정도가 고작.

사실 존재의의가 야마노테선과 도호쿠 신칸센밖에 없고 야마노테선과 도호쿠 신칸센 운영만으로 충분히 먹고산다.

여담[편집]

이들의 독창적인 면은 바로 발차벨이 특이하다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발차벨 같은 경우에는 그냥 열차 출발을 알리거나 신호음을 내는 것이 고작이지만, 이곳에서는 발차벨이 클래식부터 만화주제가 까지 매우 다양하다.

최근 다른 지역이나 사철에서도 이를 모방한 노선이 많으니, 기회가 된다면 간토의 어느 노선을 타더라도 몇 번은 들어볼 수 있을 것이다.

나리타 익스프레스[편집]

나리타 익스프레스 항목 참조. 익스프레스라고 하지만 익스프레스가 아니라 로컬이다.(특급이라고 하지만 특급이 아니라 완행이다.)

도호쿠 신칸센[편집]

도쿄-신아오모리 간을 잇는 신칸센. 2010년에서야 전 구간이 완전히 개통되었다.

하야부사[편집]

2011년에 신설된 도호쿠 신칸센의 최고 열차 등급이다. 과거 하야부사는 아오모리와 정반대 방향인 큐슈, 즉 구마모토~가고시마츄오(당시에는 니시카고시마역)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였다. 이런 이름이 정해진 이유는 당시 후보로 하츠네, 하츠카리 등이 있었는데, 하츠네는 완전히 하츠네 미쿠를 노렸고, 하츠카리의 경우 아무 문제가 없었으나 추측컨대 JR 동일본에서는 '하야테'와 이름을 맞추기 위해 이미 '하야부사'로 변경을 마친 뒤라 저 이름으로 굳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무튼 애꿎은 철덕들만 헛짓거리를 한 셈.

하야테[편집]

2002년에 하치노헤 구간이 연장 개통하면서 같이 신설된 도호쿠 신칸센의 열차 등급이다. 야마비코와 같이 모리오카까지밖에 가지 않지만, 그 대신 오미야~센다이 구간의 중간 정차역을 모조리 쌩깐다는 장점이 있다. 단, 센다이 이북부터는 무조건 전역정차하며, 모리오카 이북은 하야부사 혹은 홋카이도 신칸센 하야테를 이용해야 한다. 여담이지만 홋카이도 신칸센 하야테 운행 계통은 2016년에 신설되었다.

야마비코[편집]

도호쿠 신칸센이 1982년에 개통함과 동시에 신설된 등급으로, 현재는 구간급행 등급에 해당한다. 모든 열차들이 모리오카에서 운행을 종료하며, 모리오카 이북으로 가려면 좋든 싫든 위의 하야부사, 하야테를 이용해야 한다. 단, 하야테의 경우 도호쿠 신칸센이 아닌 홋카이도 신칸센 계통 하야테 등급을 이용해야 하며, 하야부사의 경우 아오모리 이북의 하코다테로 향할 경우 홋카이도 신칸센으로 갈아타야 한다.

나스노[편집]

도호쿠 신칸센의 완행에 준하는 등급으로, 야마비코와 함께 신설되었다. 운행 구간은 도쿄-코리야마 구간으로, 완행답게 모든 역에 필수정차한다. 재래선 통근전철의 수요를 분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설되었다. 코리야마 다음 역이 야마가타 신칸센을 이용할 수 있는 후쿠시마역인데, 여기까지는 고작 한 정거장 차이로 오지 않는다. 따라서 후쿠시마로 가려면 코리야마에서 야마비코로 갈아타야 한다. 사실 갈아탈 수 있는 등급이 야마비코밖에 없긴 하다. 하야테와 하야부사는 후쿠시마를 지나쳐 센다이로 가니까...

호쿠리쿠 신칸센[편집]

1997년에 도쿄~나가노 구간이 개통되었다. 당시 명칭은 나가노 신칸센이었으나 2015년에 나가노~카나자와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조에츠묘코역 이후 구간은 JR 서일본 관할 구간이며, 승무 교대는 조에츠묘코역에서는 카가야키가 무정차 통과하므로 전 열차가 필수 정차하는 나가노역에서 교대한다. 이런 운행 형태는 일본 신칸센 역사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카가야키[편집]

호쿠리쿠 신칸센의 특급에 해당하는 등급. 2015년 카나자와까지 연결되면서 신설된 등급이다. 전 열차가 신칸센 E7계로 운행되고 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도쿄 - 우에노 - 오미야 - 나가노 - 토야마 - 카나자와

이 중 우에노역만 일부 열차가 선택 정차하고 나머지 열차들은 전부 쌩까고 오미야역으로 돌진한다. 카가야키 정차역은 도카이도 신칸센의 노조미와 비슷하게 특정 재해가 아닌 이상 바뀌지 않는다.

하쿠타카[편집]

호쿠리쿠 신칸센의 급행에 해당하는 등급. 2015년에 카가야키와 함께 신설되었다. 도쿄~나가노 구간은 일부 정차역 변경이 있을 수 있으나 나가노역 이후부터는 무조건 각역정차로 바뀐다. 1997년부터 2015년까지 운행된 협궤 최고속력을 자랑하는 특급 하쿠타카를 공식적으로 계승하는 등급이다. 참고로 특급 하쿠타카의 최고속력은 160km/h로, 1067mm짜리 협궤 구간에서는 이 속도가 표준궤에서 320km/h로 질주하는 것과 동급이며 협궤 한계 최고속력에 매우 근접해 있어서 차량 안정성이 크게 떨어졌다고 한다. 지금은 호쿠리쿠 신칸센의 연장 개통으로 인해 더 이상 탈 수 없으며, 160km/h로 속도를 올려 운행하지도 않게 되었다.

아사마[편집]

호쿠리쿠 신칸센의 구간급행에 해당하는 등급으로, 1997년 나가노 신칸센(현재의 호쿠리쿠 신칸센)이 개통함과 동시에 신설된 등급이다. 전 열차가 나가노역에 시종착하며, 주요 정차역은 도쿄역, 우에노역, 오미야역, 타카사키역, 나가노역으로, 주요 정차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역들은 전부 선택정차역이다. 여담으로 공기 중의 공기수송률을 자랑하는 안나카하루나역에 정차하는 유일한 등급이기도 하며, 카나자와까지 연장된 지금은 완행과 구간급행을 맡고 있다,

츠루기[편집]

호쿠리쿠 신칸센의 릴레이 등급으로, 카나자와~토야마 구간에만 운행하며, 전역 정차하는 쾌속완행에 해당한다. 카나자와 연장으로 인해 재래선 특급 열차들이 카나자와 이북으로 갈 수 없게 되자 신설된 등급이다. 재래선 특급 열차들의 시간표에 맞춰 운행된다.

조에츠 신칸센[편집]

1982년 오미야-니가타 구간이 완전개통하였으며, 1991년에 도쿄로 연장운행을 시작했다. 연장 계획은 없으나, 향후 증속 계획은 잡혀 있다.

토키[편집]

조에츠 신칸센의 특급에 해당하는 등급이다. 주요 정차역은 도쿄역, 오미야역, 니가타역이고, 타카사키 이북의 모든 역들은 선택 정차역이며, 도쿄-타카사키 구간은 오미야만 필수 정차한다. 2층 차량인 E4계가 투입되는 경우 등급명 앞쪽에 'MAX'라는 명칭이 붙는다. 기존 토키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 사항은 타니가와에도 적용된다. 허나 2020년에 E4계 전 차량이 퇴역되면 'MAX'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여담으로 이름의 유래는 따오기를 뜻하는 일본어를 그대로 가져왔다. 예전 등급명은 '아사히'였으나 나가노 신칸센의 '아사마'와 조에츠 신칸센의 '아사히'는 혼동될 여지가 충분히 있었고, 승객들이 이름을 헷갈려 잘못 타는 사태가 속출하자 결국 2002년에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이 됨과 동시에 '아사히'라는 등급명은 폐지되고 만다.

타니가와[편집]

조에츠 신칸센의 완행~구간특급에 해당하는 등급이다. 전 열차가 에치고유자와역에서 시종착한다. 겨울 시즌에 한정해서 갈라유자와역까지 연장 운행한다. E4계가 투입될 경우 토키와 마찬가지로 등급명 앞에 'MAX'라는 명칭이 붙는다. 이것도 2020년에 E4계가 전 차량 퇴역하면 사라지게 될 운명이다.

야마가타 신칸센[편집]

1992년에 후쿠시마-야마가타 구간이 개통되었고, 1999년에 야마가타-신조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일본 최초로 재래선 노선을 표준궤로 개궤한 노선이기도 하며, 이러한 노선을 '미니 신칸센'이라고 한다. 법적으로는 신칸센 구간이 아니라서 요금은 특급에 준하는 정도로 부과된다. 마찬가지로 신칸센 차량 역시 신칸센이 아닌 특급 열차로 간주된다. 도쿄-후쿠시마 구간은 야마비코와 병결운행하며, 후쿠시마부터 분리되어 신조역까지 운행한다. 전 차량이 E3계로 운행하며, 2010년 이전에는 400계가 운행하였다. 신조역까지는 약 4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이마저도 후쿠시마-요네자와 구간의 직선화 이설이 이루어지면 최단 3시간 50분 정도로 소요시간이 단축되어 4시간의 벽을 돌파할 수 있게 된다.

츠바사[편집]

야마가타 신칸센의 유일한 열차 등급이다. 주요 정차역은 도쿄역, 오미야역, 후쿠시마역, 야마가타역, 신조역이며 이 역들을 제외한 모든 역은 선택정차역이다.

아키타 신칸센[편집]

1997년에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이 완전개통하였다. 전 차량이 E6계로 운행되며, 그마저도 2013년 이전에는 E3계로 운행되었다. 이 노선도 재래선 구간을 표준궤로 개궤한 '미니 신칸센' 노선이지만 야마가타 신칸센과의 차이점이라면 오마가리-아키타 구간은 듀얼게이지로 운행된다는 점이다. 도쿄-모리오카 구간은 하야부사와 병결운행하며, 야마가타 신칸센과 마찬가지로 요금은 특급에 준하며 신칸센이 아닌 특급 열차로 간주된다. 아키타역까지는 최단 3시간 37분 정도가 소요된다. 이 노선의 연장 계획은 전혀 없다.

코마치[편집]

아키타 신칸센의 유일한 열차 등급이다. 주요 정차역은 도쿄역, 오미야역, 센다이역, 모리오카역, 타자와코역, 아키타역이며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에 한정된 주요 정차역들을 제외한 모든 역들은 선택정차역이다. 도쿄-모리오카 구간은 하야부사의 정차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JR 동일본 소유의 노선 목록(더럽게 많다)[편집]

  • 도호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아키타 신칸센
  • 야마가타 신칸센
  • 도호쿠 본선
  • 오후나토선
  • 야마다선
  • 오미나토선
  • 오우 본선
  • 츠가루선
  • 카마이시선
  • 케센누마선
  • 키타카미선
  • 타자와코선
  • 하나와선
  • 하치노헤선
  • 우에츠 본선
  • 오가선
  • 고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조반선
  • 센세키선
  • 센잔선
  • 이시노마키선
  • 반에츠토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요네사카선
  • 아테라자와선
  • 야마가타선
  • 리쿠우사이선
  • 리쿠우토선
  • 타카시키선
  • 우에노도쿄라인
  • 쇼난신주쿠라인
  • 조에츠선
  • 아가츠마선
  • 료모선
  • 신에츠 본선
  • 하치코선
  • 미토선
  • 스이군선
  • 소부 쾌속선
  • 츄오-소부선
  • 소부 본선
  • 케이요선
  • 무사시노선
  • 나리타선
  • 카시마선
  • 소토보선
  • 토가네선
  • 우치보선
  • 쿠루리선
  • 카와고에선
  • 닛코선
  • 카라스야마선
  • 우츠노미야선
  • 케이힌토호쿠선
  • 사이쿄선
  •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 도카이도 본선
  • 요코스카선
  • 츄오 쾌속선
  • 조반 쾌속선
  • 조반 완행선
  • 난부선
  • 츠루미선
  • 요코하마선
  • 네기시선
  • 사가미선
  • 이토선
  • 오메선
  • 이츠카이시선
  • 하치코선
  • 야히코선
  • 에치고선
  • 하쿠신선
  • 타다미선
  • 이야마선
  • 코우미선
  • 시노노이선
  • 오이토선
  • 이와이즈미선(폐선됨)
  • 우스이 급구배(다행히 폐선됨)

JR 동일본 소유의 차량 목록(더럽게 많지만 노선보다는 덜 많다)[편집]

  • 115계 전동차
  • 185계 전동차
  • 189계 전동차
  • 205계 전동차
  • 209계 전동차
  • 211계 전동차
  • 251계 전동차
  • 253계 전동차
  • 255계 전동차
  • 485계 전동차
  • 651계 전동차
  • 701계 전동차
  • 719계 전동차
  • E001계 전동차
  • E127계 전동차
  • E129계 전동차
  • E217계 전동차
  • E231계 전동차
  • E233계 전동차
  • E235계 전동차
  • E257계 전동차
  • E259계 전동차
  • E261계 전동차
  • E353계 전동차
  • E501계 전동차
  • E531계 전동차
  • E653계 전동차
  • E655계 전동차
  • E657계 전동차
  • E721계 전동차
  • E751계 전동차
  • EV-E301계 전동차
  • EV-E801계 전동차
  • 키하 40계 동차
  • 키하 100계 동차
  • 키하 110계 동차
  • 키하 141계 동차
  • 키하 E120계 동차
  • 키하 E130계 동차
  • 키하 E200계 동차
  • HB-E210계 동차
  • HB-E300계 동차
  • E26계 동차
  • 583계 전동차
  • 715계 전동차
  • 415계 전동차
  • E331계 전동차
  • 201계 전동차
  • 103계 전동차
  • 107계 전동차
  • 113계 전동차
  • E351계 전동차
  • 신칸센 200계 전동차
  • 신칸센 400계 전동차
  • 신칸센 E1계 전동차
  • 신칸센 E2계 전동차
  • 신칸센 E3계 전동차
  • 신칸센 E4계 전동차
  • 신칸센 E5계 전동차
  • 신칸센 E6계 전동차
  • 신칸센 E7계 전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