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로쿄쿠

조무위키

로쿄쿠란?[편집]

浪曲. 나니와부시(浪花節)라고도 한다. 메이지 시대에 완전 정립된 일본의 전통예능. 대중예능 사천왕인 라쿠고, 강담, 로쿄쿠, 만자이 중 세 번째로 정립된 예능이다. 일본의 스까국 '나니와'에서 느껴지듯 곡사가 샤미센을 켜면서 가락을 깔아주면 로쿄쿠사가 노래인 후시(節)와 말인 탄카(啖呵)를 스까다가 이야기 한 편을 들려주는 예능이다. 흔히들 '의리와 인정을 세 줄의 현에 실어서'라고들 표현한다. 창과 아니리로 구성된 헬조선의 판소리랑 비슷하다. 판소리 쪽이 역사가 더 오래되었고 형식도 비슷하지만 기원이 한국의 판소리에 있는 건 아니니 애먼 한국기원설은 집어넣도록 하자.

로쿄쿠의 장르 구분[편집]

창작 시기에 따른 구분[편집]

  • 고전

다이쇼 창작까지는 이견 없이 고전으로 들어간다. 항상 문제인 건 쇼와 전기(전전) 창작을 어디다 두느냐가 좀…

  • 신작

전후 창작부터는 이견 없이 신작으로 들어간다.

연목의 성격에 따른 구분[편집]

이 부분은 2017(平成29)년도 '호화 로쿄쿠대회'의 8장르 구분에 개인적으로 따로 떼서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호상물을 추가한 것이다.

  • 인정(人情)

사람 사이의 따뜻한 정를 주제로 하는 로쿄쿠.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소라이 두부(徂徠豆腐)'가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 우세(憂世)

덧없고 괴로운 속세라는 뜻으로, 인생의 울고 웃는 그런 이야기인 듯하다.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노기츠네 산지 문신의 유래(野狐三次 彫物の由来)' 외 1작이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 무예(武芸)

무사의 칼질 아-트를 다룬 로쿄쿠다.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간류지마의 결투(巌流島の決闘)' 외 1작이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 연애(恋愛)

남녀상열지사 운우의 스포-츠를 다룬 로쿄쿠다.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염색집 타카오(紺屋高尾)' 외 1작이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 영험(霊験)

인간이 신불의 영험함을 경험하는 로쿄쿠다.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츠보자카 영험기(壺坂霊験記)' 외 1작이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 충의(忠義)

가신의 주군에 대한 충심을 보여주는 로쿄쿠다.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츄신구라 中 '타와라보시 겐바(俵星玄蕃)'와 '아카가키 겐조 도쿠리의 이별(赤垣源蔵徳利の別れ)'이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 골계(滑稽)

재미나고 우스운 이야기를 다룬 로쿄쿠다.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시미즈 지로쵸전 이시마츠 대참(清水次郎長伝 石松代参)'과 라쿠고 '부모(たらちね)'를 로쿄쿠로 각색한 '동쪽 남자에 서울 여자(東男に京女)'가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근데 이시마츠 대참은 유객물이라고 볼 수도 있는데…

  • 유객(遊客)

유객, 즉 협객 이야기다. 17년도 로쿄쿠대회에선 쿠니사다 츄지전(国定忠治伝) 中 '아카기야마 최후의 밤(赤城山最後の夜)' 외 1작이 이 장르 대표로 상연되었다.

  • 호상(豪商)

막대한 부를 쌓은 상인들의 일대기다. 고전 중에는 '키노쿠니야 분자에몬(紀伊国屋文左衛門)'이 대표적이고, 신작 중에는 3대째 타마가와 카츠타로 선생의 '에도마에 니기리즈시를 만든 사나이(江戸前握り寿司を作った男)'가 대표적이다.

로쿄쿠를 볼 수 있는 곳[편집]

요세 참조해라.

로쿄쿠 단체[편집]

일본전통예능단체 일람
예능 종류 에도 카미가타
라쿠고   라쿠고협회   카미가타 라쿠고협회
  라쿠고 예술협회
  엔라쿠일문회
  라쿠고 타테카와류
만자이   만자이협회   카미가타 만자이협회
강담   강담협회   카미가타 강담협회
  일본 강담협회   오사카 강담협회
로쿄쿠   일본 로쿄쿠협회   로쿄쿠 친우협회
이로모노   보이즈 버라이어티협회
  도쿄 연예협회
  • 일본 로쿄쿠협회

에도 쪽 단체다. 목마정 정석과 갓-연예회인 화요정을 개최하는 단체이다.

  • 로쿄쿠 친우협회

카미가타 쪽 단체다. 이쪽은 정석은 없지만 잇신지라는 절을 빌려 매달 정기 흥행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