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정읍발언

조무위키

이 문서는 재평가를 받아야 하는 빌런을 다룹니다.
이 문서는 처음에는 평가가 좋았다가 어느 순간의 계기로 추악한 면이 드러나 재평가를 받아야 하는 나쁜 새끼들을 다룹니다.
대표적으로 혐찐따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정치에 대해 다룹니다.
제발 어디에서 주워들은 시삿거리나 감정 글을 싸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누군가의 흑역사에 대해 다룹니다.
자신의 흑역사라고 해서 무조건 부끄러워 하진 마세요. 누군가에겐 추억이 될 수 있으니까요. 물론 그 추억이 나쁜 방향이면 부디 이 흑역사를 박제하는 걸 권장합니다.
찔리면 클리너 돌리든가 흰수염 건담 불러서 월광접을 뿌리는 거 맞아서 뒤지시든지 하십시오.

개요[편집]

발언하고 있는 이승만의 모습이다.


1946년 6월 3일, 광복으로부터 약 1년 만에 이승만정읍에서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을 공식적으로 주장한 사건이다. 1946년 2월부터 이북에서는 이미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를 조직하는 등 북한 단독 정부를 수립하려던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모스크바 3상 회의의 결정에 따라 개최되었던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좌우 합작 운동이 전개될 무렵에, 미군정이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이 국내에 보도되었다.

그 후로 지방 여행에 나선 이승만은 정읍에서

무기휴회된 공위가 재개될 기세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정부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남한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이북에서 소련이 철퇴하도록 세계공론에 호소해야 할 것입니다.

라고 발언하고 단독정부 수립에 본격적으로 나섰는데, 그해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미국으로 건너가서 단독 정부 수립을 촉구하는 외교 활동을 벌이고 돌아왔다. 결국 풀어보면 분단되더라도 단독 정부를 수립해야 하고 남한에서 대통령만 하면 상관 없다는 책임감 없는 발언이라고 할 수 있다.

발언 이후[편집]

1947년에 열린 2차 미소공동위원회도 의견 차이로 결렬되었지만 그 동안에 대통령은커녕 정부마저도 제대로 수립하지 못한 상황이 되었다. 그래서 한국은 UN에게 이 문제를 보고했는데, 이때 UN이 제시한 방안이 유엔의 감시하에 인구비례 총선을 통해서 한반도의 국회를 완성하고 즉각 독립시킨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인구상 의석 수가 적게 배분될 것이라고 판단한 소련군정에서는 유엔의 제의를 거부했고 이에 어쩔 수 없이 일단 선거가 진행될 수 있는 곳에서만 선거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이뤄졌다.

김구의 저지 시도[편집]

UN의 결정에 반대했던 김구와 중도파 등 때문에 UN은 일단 선거 실시가 가능한 지역에서만 진행하라고 얘기한다. 이것을 막기 위해 김구는 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하던 인사들과 함께 1948년 4월에 김구가 방북, 남북협상(정식 명칭은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을 진행하게 된다. 약 80여 명을 이끌고, 그렇게 협상하여 이하의 결정문이 완성되었다.

첫째, "소련이 제의한 바와 같이 우리 강토에서 외국군대가 즉시 철거하는 것이 조선문제를 해결하는 유리한 방법이다."

둘째, "남북정당사회단체지도자들은 우리 강토에서 외국군대가 철퇴한 뒤에 내전이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

셋째, "외국군대가 철퇴한 이후, 다음 연석회의에 참가한 모든 정당사회단체들은 공동명의로써 전조선정치회의를 소집하여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통일적 조선입법기관을 선거하여 통일적 민주정부를 수립해야 한다."

넷째, "위의 사실에 의거하여 이 성명서에 서명한 모든 정당사회단체들은 남조선단독선거의 결과를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며 지지하지도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