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

이 문서는 음식을 다룹니다.
이 문서는 우리 모두의 목숨을 부지해 주는 음식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먹는 건 좋은데 운동 안 해서 파오후돼지 맙시다.
파일:위꼴.PNG
이 문서는 갓-음식에 대해 다룹니다.
이 문서는 누구나 맛있게 처먹을 수 있는 God-Food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너무 맛있으면 왼쪽의 해괴한 표정을 지을지도 모르니까 적당히 처먹기 바랍니다.
이... 이 맛은?!
이 문서는 실력겜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운빨이나 현질 요소가 철저히 배제된 실력겜을 다루고 있습니다.
오직 자신의 피지컬과 판단력에 의지하여 승부를 겨루세요.
하지만 초보자들은 양학 당하기 쉽기 때문에 입문할 땐 조심하세요.

ㄴ육수 때문에...

이 문서는 파오후가 좋아하는 주제, 또는 파오후 그 자체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평범한 사람들과 관련있는 주제를 소개하지 않습니다. 주변의 파오후에게나 이 문서를 추천해 주세요.

ㄴ 명절 음식이 다 그렇듯 칼로리가 높다.

악! 내 틀니!
읽기만 해도 이가 시려오는 문서입니다.
누르렁 주의! 이 문서는 매우 병신 같은 음식류를 다룹니다.
이 문서는 모든 음식을 먹어 치우는 절대식성을 가진 커여운 동물 누렁이도 거를 법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급격한 식욕저하 및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니 섭취 전 주의는 개뿔 그냥 뒤지기 싫으면 처먹지 마십시오.
누렁아 밥 먹자. 누르렁!

ㄴ 군대 배식 마지막의 경우

착한 문서 인정합니다.

이 문서는 유익한 정보를 주는 아주 착한 문서입니다.
문서를 읽기 전에 모니터나 액정 앞에서 따봉각을 치켜 세웁시다.

개요[편집]

파일:Tteokguk.jpg

설날에 한국인들이 먹는 절식(節食) 중 하나.

역사[편집]

떡국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조선시대 말엽에 편찬된 풍속학 연구서인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이다. 최남선은 <조선상식(朝鮮常識)>에서 상고 시대 설날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이니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원시종교적 사상에 따라 깨끗한 흰 떡으로 끓인 떡국을 먹게 된 것이 아닌가 하고 추측하기도 했다.

지역별 떡국[편집]

파일:Tteokmanduguk (rice cake dumpling soup).jpg
떡만둣국의 모습.

가래떡 자체가 막대한 양의 쌀을 필요로 하다 보니 순수 쌀 문화권에서만 즐겨 먹는다. 때문에 벼농사만 짓는 경상도, 전라도에선 떡국을 많이 먹었지만 그 이북의 쌀, 밀문화권의 혼종이던 충청도, 강원도, 경기도, 황해도에선 떡만둣국을, 중부 지방에 비교적 밀 문화권에 가까웠던[1] 평안도, 함경도에선 만둣국을 즐겨 먹었다.

본래 높으신 분들은 을 다져서 끓인 맑은장국(육수)을 국물로 삼았지만 그런 형편이 안 되는 사람들이나 현대인들은 소고기 육수로 먹었다.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은 이러한 배경 때문에 나온 것이다.

그냥 가래떡 말고도 개성에서 이성계 고인드립을 위해 즐겨 먹은 조랭이떡국, 충청도에서 익반죽한 쌀가루로 만든 생떡국 등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참고로 떡국 존나 급하게 처먹다보면 진짜로 뒤질 수도 있으니까 천천히 처먹어라. 급하게 처묵으면 밤에 토함.

제조법(오리지널)[편집]

  1. 꿩, 혹은 소고기 양지머리, 무, 다시마, 노가리 등으로 육수를 우려서 끓인다. 국간장을 조금 넣어 약간 짠맛을 내야지 떡국의 간이 맞다. 육수를 어떻게 끓이냐에 따라 존맛탱이 되기도 하고 누르렁한 개쓰레기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육수를 우리는 실력이 필요하다.
  2. 흰 가래떡은 한입 크기로 어슷썰기한다.
  3. 육수가 끓으면 떡을 넣고 떡이 익어서 위로 떠오르면 , 소고기볶음, 두부, 계란지단 등 다양한 고명을 넣는다.

제조법(간편 ver)[편집]

  1. 마트에서 떡국떡과 레토르트 곰탕을 산다.
  2. 떡을 물에 불린다.
  3. 떡국은 물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데 이를 고려하여 레토르트 곰탕을 적당히 넣는다. 그렇다고 안 넣으면 짠맛이 나기 때문에 안 넣으면 안 된다.
  4. 국물이 끓으면 떡을 넣고, MSG를 넣어서 한소끔 더 끓이면 완성. 이 단계에서 취향에 따라 계란, 다진 마늘, 대파, 후추, 만두 등 취향에 따라 재료를 추가하면 된다.

각주

  1. 벼농사도 지었지만 지역 특성 때문에 밀농사도 많이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