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왕권

조무위키

주의! 이 문서는 빛과 어둠이 공존하는 문서입니다.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공존합니다.
그 2가지 측면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름 그대로다. 임금이 지닌 권력이나 권리 등을 의미한다.

왕권이 강해지면 자연스레 신하들의 견제 권력의 힘이 약해진다. (그리고 외척세력도 빼애액을 할 확률이 줄어든다.)

다만 빛과어둠 틀을 붙인 이유는 왕권이 씨발 좆나 강한데 그 왕이 폭군 새끼라면 잔인하고 부패한 방향으로 1인 독재정치를 할 수가 있기 때문

그렇다고 해서 중세 등 전근대 시대에는 민주주의라는 개념도 없었기 때문에 왕권약화가 꼭 다양한 의견을 포용하며 잘 운영된다는 보장도 없다. 쓰레기같은 당파싸움으로 번지거나 아얘 신하들이 왕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부정부패를 저지를 수 있기 때문.


결국엔 왕이 성군이라면 왕권이 강화되는게 좋고, 유사 폭군 가능성이 높다면 왕권을 약화해 신하의 힘이 강해지는 것이 나을지 몰라도 일반적인 경우에는 두 권력간의 견제와 감시가 필요하다. 왕권과 신하의 권력 중 어느 한쪽에만 스텟을 찍어도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