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역학

조무위키

주의. 이 게임은 요령 없이 하다간 저절로 똥손, 똥발이 되어버리는 존나 어려운 게임입니다.

이 게임은 존나게 어려워서 몇 번이고 유다희 누님을 영접할 위험이 있습니다.
계속하면 정신이 나가 샷건을 칠 수 있으니 하기 전에 다량의 항암제를 준비하거나 전문가와 상의를 권고합니다.
하지만 이미 늦었군요,

YOU DIED
이 문서는 이과가 작성했거나, 또는 이과에 대해 다룹니다.
무슨 생각으로 작성한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맞는말임은 틀림 없습니다.
이과는 아다를 못 떼 마법을 쓰니까 말이죠...
주의. 이 문서는 심각하게 노잼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노잼 드립이 있는 문서입니다. 그리고 정보도 안 주는 쓰레기통 행이 어울리는 문서입니다.

모멘트따위를 계산하는것이다. 특히 토목공학과나 토목과 들어가면 반드시 배우는 과목1순위 좀만 더 배우면 '보'라는 것을 배우게 되는데 그냥 접어라. 보에서 좀만 더 넘어가면 라멘, 기둥, 아치, 케이블 트러스 해석이 기다리고 있는데, 보를 해석할 줄 안다면 이제 이정도는 어느정도 개념만 있으면 충분히 해석할 수 있다. 이해하기 싫다면 공식 외워라. 이거 이해하려고 노력 1도 안하면서 역학을 도전해보겠다? 암기나 쳐 해라

사주 역학할 때 그 역학 아니다. Physics의 의미니까 점쟁이들이 쇼하는 걸 기대했으면 다른 곳을 알아봐라


개요[편집]

'역학'하면 일반적으로 뉴턴역학과 라그랑주-해밀턴 역학을 의미한다. 양자역학은 다른 항목으로

주변에서 흔하게 관찰할 수 있는 물체들의 운동, 그중에서도 강체의 운동을 배우는 학문이다. 뉴턴이 운동 법칙을 통해 처음으로 뉴턴 역학을 제안했고, 이후 라그랑주와 해밀턴, 달랑베르와 같은 몇몇 물리학자들이 살을 붙이면서 현대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공대에서는 정역학이나 동역학이라는 과목을 통해 배운다. 한편 물리학과는 일반역학 또는 해석역학이라는 이름을 달고 공부하게 된다.

학과마다 배우는 내용은 조금씩 다를지는 몰라도 기본적인 원리는 뉴턴역학과 라그랑주-해밀턴 역학으로 같다. 나머지는 각 학과의 목표에 맞추어 어느 부분은 더 배우고, 다른 부분은 생략시키기도 하며 커리큘럼이 구성된다.

물리학과[편집]

유명한 교재로는 마리온과 파울즈가 투톱이다. 대학원용 교재인 골든슈타인을 보기도 한다.

이 두 책을 기준으로 보면 공부하는 순서가 거의 비슷하다. 두 책의 저자가 서로의 책을 참고하며 이런 형태가 되었을 수도 있지만, 그만큼 물리학에서 역학은 학습방법이 오랫동안 연구되어 거의 단일트랙이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대충 배우는 순서를 말하자면

  • 벡터 : 대수행렬을 다루는 방법, 벡터미적분을 배운다. 역학에서는 필수적이기 때문
  • 뉴턴 역학 : F=ma 가지고 거의 한 학기를 우려먹는다. 1차원 운동과 3차원 운동을 따로 배운다.
  • 비관성계 : 관성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갈릴레오 변환에 대해서도 배우고, 회전좌표계를 중요하게 학습한다. 여기서 지구 전향력을 계산하는 방법도 배운다.
  • 중력만유인력 : 케플러법칙을 존나 자세하게 배운다.
  • 진동 : 단진동, 단진자 수준을 넘어서 감쇠진동이나 강제진동, 2차원 진동, 연성진동 등 진동이랑 진동은 다 배운다. 카오스 개념도 여기서 다룬다.
  • 입자계 : 앞에서는 한 물체에 작용하는 힘만 봤다면, 여기부터는 여러 입자의 운동을 동시에 고려한다. 간단하게 2개부터 배운다.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 3개부터는 천재들도 못풀고 있다. 충돌, 섭동, 산란, 질량중심에 대한 논의는 당연히 이루어진다.
  • 강체역학 : 회전운동에 대해 배운다. 진동학 파트랑 연관되어서 물리진자도 공부한다. 평면과 3차원 회전으로 나뉘는데, 3차원 회전에서 관성텐서가 등장하면서부터 물리학과 학생들에게 고통을 선사한다. 좆같은 오일러 앵글
  • 라그랑주 역학 : 변분법을 공부하고 뉴턴역학을 재해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일반화좌표, 해밀턴 원리, 액션, 달랑베르 원리 등이 존재한다. 변분법이 생소해서 그렇지, 강체역학에 비하면 쉬운 부분이다.


물리학과는 딱 이정도만 배우고 응용은 공대에 맡긴다. 역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라그랑주 역학인데, 이건 기본적으로 배워야 양자역학을 공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리학과 전용 4대역학 중에서는 가장 쉬운 편이다. 그러나 물리적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이 시기에 전과편입을 생각하게 된다. 곧 3학년인데 자퇴하기에는 너무 늦었잖아?

공대[편집]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