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흘해 이사금

조무위키


신라의 국왕 목록
박씨 왕조 석씨 왕조 박씨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혁거세 거서간 박혁거세
(기원전 57년~4년)
남해 차차웅 박남해
(4년~24년)
유리 이사금 박유리
(24년~57년)
탈해 석탈해
(57년~80년)
파사 박파사
(80년~112년)
박씨 왕조 석씨 왕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지마 이사금 박지마
(112년~134년)
일성 이사금 박일성
(134년~154년)
아달라 이사금 박아달라
(154년~184년)
벌휴 이사금 석벌휴
(184년~196년)
내해 이사금 석내해
(196년~230년)
석씨 왕조 김씨 왕조 석씨 왕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조분 이사금 석조분
(230년~247년)
첨해 이사금 석첨해
(247년~261년)
미추 이사금 김미추
(261년~284년)
유례 이사금 석유례
(284년~298년)
기림 이사금 석기림
(298년~310년)
석씨 왕조 김씨 왕조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흘해 이사금 석흘해
(310년~356년)
내물 마립간 김내물
(356년~402년)
실성 마립간 김실성
(402년~417년)
눌지 마립간 김눌지
(417년~458년)
자비 마립간 김자비
(458년~479년)
김씨 왕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소지 마립간 김소지
(479년~500년)
지증왕 김지대로
(500년~514년)
법흥왕 김원종
(514년~540년)
진흥왕 김삼맥종
(540년~576년)
진지왕 김사륜
(576년~579년)
김씨 왕조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진평왕 김백정
(579년~632년)
선덕여왕 김덕만
(632년~647년)
진덕여왕 김승만
(647년~654년)
무열왕 김춘추
(654년~661년)
문무왕 김법민
(661년~681년)
김씨 왕조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신문왕 김정명
(681년~692년)
효소왕 김이홍
(692년~702년)
성덕왕 김흥광
(702년~737년)
효성왕 김승경
(737년~742년)
경덕왕 김헌영
(742년~765년)
김씨 왕조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혜공왕 김건운
(765년~780년)
선덕왕 김양상
(780년~785년)
원성왕 김경신
(785년~798년)
소성왕 김준옹
(798년~800년)
애장왕 김중희
(800년~809년)
김씨 왕조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헌덕왕 김언승
(809년~826년)
흥덕왕 김경휘
(826년~836년)
희강왕 김제륭
(836년~838년)
민애왕 김명
(838년~839년)
신무왕 김우징
(839년)
김씨 왕조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문성왕 김경응
(839년~857년)
헌안왕 김의정
(857년~861년)
경문왕 김응렴
(861년~875년)
헌강왕 김정
(875년~886년)
정강왕 김황
(886년~887년)
김씨 왕조 박씨 왕조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진성여왕 김만
(887년~897년)
효공왕 김요
(897년~912년)
신덕왕 박경휘
(912년~917년)
경명왕 박승영
(917년~924년)
경애왕 박위응
(924년~927년)
김씨 왕조
제56대
경순왕 김부
(927년~935년)
이 문서는 잘생기고 매력적이며,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남자에 대해 다룹니다.
순간 설레서 동인녀가 될 지도 모르니 열람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역사 속의 인물을 다룹니다.
여기서 말하는 대상은 역사 속의 네임드 급 인물들입니다. 이 틀은 고인이 된 대상에게 사용하십시오.

신라의 제16대 군주이자, 신라 석씨 왕조의 마지막 군주이다. 10대 내해 이사금의 손자이자 이찬 석우로의 아들이라고 한다.

아버지인 석우로가 흘해 이사금에 대한 평에 따르면 외모가 매우 훌륭하고, 담력이 있으며 총명하고 민첩하여 일 처리가 보통 사람보다 뛰어났다라고 말했다. 물론 아버지가 아들에 대한 평가인지라 완전히 믿기에는 애매하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기록상 생년이 이상하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기원후 249년(신라본기 첨해 이사금 본기) 혹은 기원후 253년(석우로열전)에 죽었는데, 그 아들인 흘해는 61년 뒤(혹은 57년 뒤)인 기원후 310년에 왕위에 오른다. 석우로가 죽었을 때 흘해는 걸음마도 떼지 못한 아기였으니 아무리 젊어도 56세에 왕위에 올랐다는 건데, 정작 삼국사기 기록을 보면 흘해 즉위 전에 신하들이 흘해에 대해서 '흘해는 나이가 어리지만 나이든 사람의 덕이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삼국사기 기년수정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삼국사기 기년이 조작되어 있다는 의혹을 입증하는 대목으로 이 기록을 많이 든다.

백제시대에 축조되었다는 벽골제 축조 기사는 사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비류왕의 기사가 아닌 신라본기의 이 군주 21년(기원후 330년) 기사에 실려있다. 정확히는 벽골지(碧骨池).

죽고 나서 아들이 없어 김씨인 내물 마립간이 왕위를 이었는데, 전진에 사신으로 갔던 위두(衛頭)가 전진의 군주 부견이 "경이 말하는 해동(海東)의 일이 옛날과 같지 않으니 어찌된 것인가?"라고 말하자 "또한 중국과 같은 경우입니다. 시대가 바뀌고 명칭과 이름도 고쳐졌으니, 지금과 예전이 어찌 같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한 걸 보면 결코 평화적으로 왕조교체가 이뤄진 건 아닌 듯 하다.

박씨가 왕위서 내려온뒤로도 왕비를 배출하고 후대에는 박씨 왕을 다시 배출하는등 잘먹고 잘살았던 반면 석씨는 지 조카새키한테 푹찍엑윽 당한 실성 마립간 후로는 6두품 정도의 귀족으로 ㅈ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