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파사 이사금

조무위키


신라의 국왕 목록
박씨 왕조 석씨 왕조 박씨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혁거세 거서간 박혁거세
(기원전 57년~4년)
남해 차차웅 박남해
(4년~24년)
유리 이사금 박유리
(24년~57년)
탈해 석탈해
(57년~80년)
파사 박파사
(80년~112년)
박씨 왕조 석씨 왕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지마 이사금 박지마
(112년~134년)
일성 이사금 박일성
(134년~154년)
아달라 이사금 박아달라
(154년~184년)
벌휴 이사금 석벌휴
(184년~196년)
내해 이사금 석내해
(196년~230년)
석씨 왕조 김씨 왕조 석씨 왕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조분 이사금 석조분
(230년~247년)
첨해 이사금 석첨해
(247년~261년)
미추 이사금 김미추
(261년~284년)
유례 이사금 석유례
(284년~298년)
기림 이사금 석기림
(298년~310년)
석씨 왕조 김씨 왕조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흘해 이사금 석흘해
(310년~356년)
내물 마립간 김내물
(356년~402년)
실성 마립간 김실성
(402년~417년)
눌지 마립간 김눌지
(417년~458년)
자비 마립간 김자비
(458년~479년)
김씨 왕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소지 마립간 김소지
(479년~500년)
지증왕 김지대로
(500년~514년)
법흥왕 김원종
(514년~540년)
진흥왕 김삼맥종
(540년~576년)
진지왕 김사륜
(576년~579년)
김씨 왕조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진평왕 김백정
(579년~632년)
선덕여왕 김덕만
(632년~647년)
진덕여왕 김승만
(647년~654년)
무열왕 김춘추
(654년~661년)
문무왕 김법민
(661년~681년)
김씨 왕조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신문왕 김정명
(681년~692년)
효소왕 김이홍
(692년~702년)
성덕왕 김흥광
(702년~737년)
효성왕 김승경
(737년~742년)
경덕왕 김헌영
(742년~765년)
김씨 왕조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혜공왕 김건운
(765년~780년)
선덕왕 김양상
(780년~785년)
원성왕 김경신
(785년~798년)
소성왕 김준옹
(798년~800년)
애장왕 김중희
(800년~809년)
김씨 왕조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헌덕왕 김언승
(809년~826년)
흥덕왕 김경휘
(826년~836년)
희강왕 김제륭
(836년~838년)
민애왕 김명
(838년~839년)
신무왕 김우징
(839년)
김씨 왕조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문성왕 김경응
(839년~857년)
헌안왕 김의정
(857년~861년)
경문왕 김응렴
(861년~875년)
헌강왕 김정
(875년~886년)
정강왕 김황
(886년~887년)
김씨 왕조 박씨 왕조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진성여왕 김만
(887년~897년)
효공왕 김요
(897년~912년)
신덕왕 박경휘
(912년~917년)
경명왕 박승영
(917년~924년)
경애왕 박위응
(924년~927년)
김씨 왕조
제56대
경순왕 김부
(927년~935년)
신라의 역대 왕
4대 5대 6대
탈해 이사금 파사 이사금 조분 이사금
재위기간
80년 ~ 112년

신라를 본격적으로 영토국가로서 발전시킨 군주. 재위기간은 삼국사기 기록상 80년~112년.

신라 제5대 임금으로 제3대 임금인 유리 이사금의 둘째 아들이다. 원래 유리 이사금의 맏아들인 일성이 왕위에 오르려했지만 누군가가 '파사가 더 현명하고 위엄이 있으니 파사가 왕위에 올라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 받아들여져 형 일성을 제치고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1] 근데 이건 기록상 이랬다는 거고 실제로는 왕위에 오르는 과정에서 권력다툼이 있었을 듯.

위에서도 적어놨듯이 치세 동안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다. 먼저 재위 23년인 기원후 102년에 실직곡국[2]과 음즙벌국[3]에서 영토분쟁을 중재해달라고 요청한 일이 있었는데, 파사 이사금이 고민하다가 금관국(금관가야.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의 국왕 수로왕에게 중재를 맡겼다. 수로왕이 분쟁지역을 음즙벌국에게 주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으로 일이 해결되자, 신라에서 6부에 축하잔치를 벌여 수로왕을 접대하라고 명했다. 그런데 6부 중 하나인 한기부(漢祇部)가 나머지 5부가 조선시대 2품 정도라 할 수 있는 이찬급이 축하잔치를 베풀게 했을 때 혼자 직위가 낮은 사람에게 잔치를 주관하게 했다. 화가 난 수로왕이 종 탐하리를 시켜 한기부의 장이었던 보제를 죽이게 했다. 그러자 탐하리가 음즙벌국으로 튀었고, 그 나라 왕이었던 타추간이 그를 보호해주다가 파사 이사금이 군사를 보내자 항복했다. 그 때 신라의 위엄을 본 실직곡국과 압독국[4]도 신라에 항복한다. 2년 뒤에 실직곡국이 배반하긴 했는데, 다시 군사를 보내서 제압했다.

재위 29년인 기원후 108년에는 다벌국, 비지국, 초팔국을 정벌하였다. 각각 순서대로 지금의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창녕군,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으로 비정된다.

파사 이사금이 영토를 대거 확장한 이후 신라는 진한의 소국을 조금씩 합병하는데, 이 정복사업은 11대 조분이사금 시대까지 이어진다. 물론 사량벌국[5]이 12대 첨해 이사금 시기에 이탈해서 백제에 붙는 사건이 일어나긴 하지만 금방 진압된다. 이때의 지배방식은 위에서 실직곡국이 배반했다는 기록으로도 알 수 있듯이, 직접지배라기보단 현지세력을 인정하고 자치를 허용하는 형태의 간접지배의 형태를 띈 것으로 보인다.

재위 22년인 기원후 101년에 월성을 쌓고 그곳에 옮겨 살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고고학적으로 월성의 초축시점은 기원후 3세기 이전에서 더 올라가질 않아서 파사 이사금의 실제 생존시기는 기원후 3세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서기에는 파사매금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신공황후가 신라를 정벌하러 오자 그 기세에 눌려 항복했다고 한다. 근데 일본서기 신뢰성 알지? 그냥 소설이라 생각하고 거르면 된다.

  1. 일성은 훗날 조카인 지마 이사금의 사망 이후 왕위에 올라 7대 이사금인 일성 이사금이 된다.
  2. 지금의 강원도 삼척시.
  3.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4.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5.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