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전기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조무위키

 
38번째 줄: 38번째 줄:


== 도입 현황 ==
== 도입 현황 ==
{{중뽕}}
{{친중파}}
{{부적}}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align="middle" style="color: #FFFF00;background-color: #FF0000;" colspan=6| '''전기버스로 중국몽을 꿈꾸는 지역과 운수업체 현황'''  
! align="middle" style="color: #FFFF00;background-color: #FF0000;" colspan=6| '''중국산 전기버스가 도입된 지역과 운수업체 현황'''  
|-
|-
| align="middle" style="color: black;background-color: #FFFF00;"| '''지역''' || 운수업체 || 차종 || align="middle" style="color: black;background-color: #FFFF00;"| '''지역''' || 운수업체 || 차종  
| align="middle" style="color: black;background-color: #FFFF00;"| '''지역''' || 운수업체 || 차종 || align="middle" style="color: black;background-color: #FFFF00;"| '''지역''' || 운수업체 || 차종  

2024년 5월 16일 (목) 12:19 기준 최신판

즤! 이 문싀 댓은 좐 빫닏!
넘 빬 울 뉀 뵞 않싇! 넴! 겏라!~~
파일:메이드인헤븐.png
주의. 이 문서는 눈부실 정도로 매우 밝습니다.
이 문서를 읽다가 부디 너의 눈이 실명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랄 뿐입니다. 그러나 이미....... 늦은 것 같네요...이미 이 글을 보는 너는 실명이 되었습니다. 아니 이 글도 보지 못합니다......
국내산(현대의 일렉시티)
중국산(중통의 아데오나)

개요[편집]

말그대로 전기를 이용해서 달리는 버스이다.

당연히 전기자동차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장점[편집]

오염물질이 전혀 안 나온다는게 특장점이다.

그래서 천연가스버스보다 더욱 친환경적인 차량이다.

또한 충전비용이 오히려 천연가스버스보다 적게드는 장점도 있다.

게다가 천연가스버스는 가스폭발위험도 있는데 전기버스는 폭발위험이 낮은편이다.

차 나가는 것도 부드럽고 빠름.

충전소 설치하기 용이하지만 다만 함정이 있어서 단점 항목을 보면 답이 나온다.

단점[편집]

다만 재충전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약점이 있으며, 외부 전기차량(해당 법인관계자가 아닌 즉 제3자를 의미)까지 버젓이 충전하면 답이 없어진다.

상기 차고지내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가 용이할 수 밖에 없는건 이유가 주택가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설치비와 유지비가 비싸서 그런 돈 쓰기 싫으니까 주변 이웃들이 요구하는 외부차량 충전 허용하는 조건에서 설치 찬성을 한거지, 그렇지 않았으면 결사 반대 피켓을 들고도 남았을 것이다.

그리고 수소버스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적어서 주행거리가 짧은데다가 심지어는 오래쓸수록 배터리의 성능이 악화되기도 한다.

배터리가 워낙에 고가라서 그런지 차량의 가격이 비싼것도 단점이며, 전기버스의 도매단위로 100대 이상 보유하면 단점에 기재된 상기 내용들 같이 매우 골치아프다.

이보다 더 친환경적인 수소버스가 있으나 현재로썬 가격이 너무 비싸서 전기버스 위주로 도입 중이며, 수소버스는 무려 운행 중에 공기정화까지 한다.

도입 현황[편집]

현재는 국내에 국내산보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더 많이 다닌다. 업체 사장은 국내산이 비싸서 싼 맛에 뽑는 거라고 한다. 보조금 정책이 바꼈다는데 바뀌기는커녕 오히려 중국산 버스가 수도권 쪽에서 더 늘어나고 있다. 중국 속국 다되었다. 서울은 이러다가 중국산이 일렉시티보다 많아질 기세다. 특히, 김포시창원시, 그리고 강원도춘천시와 영동지방에 중국산이 엄청 많다. 반면,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대구광역시[1], 충청북도는 국내산만 도입 중. 최근에는 부산, 대구, 충북도 중국산 도입했다.(대구, 부산 : 범한 E-STAR, 충북 : CRRC 그린웨이/A, 하이거 하이퍼스 1611N/P 물론 중국산 내구성은 여전히 대우보다도 딸려서 일부 노선은 중국산 버스를 도입했더라도 신차는 국산으로 뽑기도 한다.
중국산 전기버스가 도입된 지역과 운수업체 현황
지역 운수업체 차종 지역 운수업체 차종
서울특별시 공항버스(강서구)
관악교통(관악구, 양천구)
삼화상운(노원구)
한성여객(노원구)
흥안운수(노원구)
서울교통네트웍(도봉구)
도원교통(성북구)
북부운수(중량구)
하이거 하이퍼스 경기도 선진버스(고양, 김포) 스카이웰 아이즘
스카이웰 볼트온
JJAC VBUS
에빅 엔비온
중통 매그넘
선진상운(김포)
양주교통(양주)
중통 매그넘(선진상운)
황해자동차 이스카이
한남여객(관악구)
서부운수(서대문구)
현대교통(서대문구)
BYD e-BUS 12 성남시내버스(성남)
성남여객버스(성남)
포톤 그린어스
킹롱 시티라이트
승진여객(용인) BYD e-BUS 7
자경마을버스(광명) 에디슨 스마트 9.3(JJAC)
세풍운수(양천구) 황해자동차 이스카이 수원여객(수원) BYD e-BUS 12
소신여객(부천, 시흥) 하이거 하이퍼스
김포운수(김포)
맑은교통(파주)
중통 아데오나
한신모터스 바네스(맑은교통)
인천광역시 군내버스(강화군) JJAC VBUS
황해자동차 이스카이
강원도 춘천시민버스(춘천) 디피코 휴스카이
하이거 하이퍼스
CRRC 그린웨이
성민버스(연수구) BYD e-BUS 12 동진버스(강릉) 포톤 그린어스
킹롱 시티라이트
시영운수(서구) 에디슨 스마트 9.3(JJAC) 동해상사(속초)
강원여객(삼척)
평창운수(평창)
명성교통(횡성)
디피코 휴스카이
충청남도 아산시시설관리공단(아산) BYD e-BUS 7 경상남도 대운교통(창원) 하이거 하이퍼스
BYD e-BUS 12
동양교통(창원) 황해자동차 이스카이
마인버스(창원)
마창여객(창원)
창원버스(창원)
하이거 하이퍼스
제일교통(창원) 포톤 그린어스
킹롱 시티라이트
푸른교통(양산) BYD e-BUS 12
이 문서가 설명하는 대상은 정말로 기대가 됩니다.
이 대상은 인지도가 높아 붐이 오거나 우리 모두가 기대를 하게 되는 것으로 확실한 건 믿거는 되기 어렵다는 겁니다. 너무 기대되어서 심쿵사 할 당신을 위해 액션빔!
오랫동안 기다리셨습니다! 이제 곧, 뉘우스를 상영하겠습니다!

오세훈이 서울시장에 당선이되고 보조금 개편부터 시작으로 전기버스 옵션사항도 개편을 해서 중국산 비중이 조금이나마 줄어들 것이다.

ㄴ 줄어들기는커녕 중국산이 일렉시티 점유율 추월할판이다

벌칙좌석[편집]

주의! 이 문서가 다루는 대상은 너무나도 미개합니다.
너무 미개해서 불쌍할 수도 있습니다.

중국 모델은 맨앞 좌석을 거꾸로 배치해놓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바퀴 때문에 튀어나온 비좁은 공간에 어떻게든 좌석 하나라도 더 쑤셔넣을라고 역방향이 나오게 된 것이다.

국내에서 운행 중인 차종 목록[편집]

국내산[편집]

  •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타운
  • 대우 BS110 EV[2]
  • 에디슨 E화이버드[3]
  • 에디슨 스마트 110
  • 우진산전 아폴로 1100/900

반조립 형식[편집]

  • 에디슨 스마트 8.7/9.3
  • 범한 E-STAR 8/11/12i

중국산[편집]

  • 하이거 하이퍼스
  • 중통 매그넘[4]
  • 중통 아데오나[5]
  • 에빅 엔비온[6]
  • 포톤 그린어스
  • 황해자동차 E-SKY
  • 킹롱 시티라이트
  • BLK 일레누스
  • 스카이웰 HU-SKY[7]
  • JJ모터스 VBUS 105
  • BYD eBUS-7
  • BYD eBUS-12
  • 스카이웰 볼트온
  • 스카이웰 아이즘[8]
  • 한신모터스 바네스
  • CHTC 에픽시티[9]

각주

  1. 대구의 경우 현대 일렉시티와 우진산전 아폴로 2개 차종만 도입한다.
  2. 2016년에 무선충전(배터리 교환) 방식으로 구미에 2대 도입되고, 2019년에 유선충전 방식으로 성남에 10대 도입되었으나 차량 평이 좋지 못하여 현재 여기에 그쳐있다. 성남에서 원래 더 들여올려다가 주문을 취소하였고 그 차량들은 2년 가까이 아직까지 공장에서 방치되고 있다.
  3. 아래 스마트 110으로 페이스리프트 되어 더이상 제작되지 않는다.
  4. 2021년 기준 보조금 지원이 끊겨 2018년에 도입된 김포 2번33-1번 차량 이후로 뽑는 업체가 없다. 중국 모델 중 가장 평이 안 좋은 것도 있다.
  5. 전기 엔진과 3도어 사양이 함께 갖춰져 있는 유일한 모델이다. 하지만 바로 위 동일메이커의 매그넘과 같이 평이 좋지 못하다. 김포 60번과 파주 085번에 다니는데 역방향 좌석이 앞쪽과 뒤쪽에 총 4쌍이나 있고, 소음과 덜컹거림이 매우 심하다.
  6. 김포 33번에서만 유일하게 볼 수 있는 모델로, 2017년에 도입된 후 국내 수입사가 해당 차종의 수입을 중단하고 바로 위 중통 매그넘을 수입하기 시작했다.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된 중국산 전기버스이기도 하다.
  7. 디피코가 해당모델을 수입해 판매했었다.
  8. 계단이 한 칸 있는 중저상버스이다.
  9. 주로 KD 운송그룹의 계열사에서 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