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쿠르스크 전투

조무위키

주의! 이 문서는 지옥 그 자체를 다룹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지역이나 장소는 지옥입니다.
지옥 그 자체라 사는 게 곶통이며 뒤지는 게 나을 정도입니다. 이 암울한 상황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다른 은하의 외계인들이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이런 좆같은 것들과 살아가는 당신에게 탈지옥을 권합니다.
할 수만 있다면야...
주의!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그야말로 클라스가 다릅니다.
이 문서는 다른 것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클라스가 다른 갓-창작물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여러 대중매체에서 자주 거론되거나, 아니면 문화적, 세계적으로 거대한 영향을 끼쳤거나
확실히 그 무엇보다도 다른 우주명작급 작품이니 본문을 읽기 전 뇌를 비우시기 바랍니다.

간략한 소개[편집]

인류 역사상 최대규모의 전차전

전투 11일 간 양측 사상자 약 100만명

월오탱 실사판을 찍은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플레이 요금은 플레이어 목숨^^

양측 합쳐서 병력 200만, 전차 6500대, 항공기 4500대가 동원된 스케일 초지리는 전투이다.

태평양 전선이 미드웨이 - 과달카날 콤보 이후로 천조국이 승기를 잡앗다면,

소련 전선은 스탈린그라드 - 쿠르스크 콤보로 전세가 그대로 소련 승리로 굳어진다.

4호 전차,티거같은 덕국 땅크들과 T-34,KV같은 쏘오련 땅크들이 대판 박고박힌 전투이다.

일단 독일이 소련에게 큰 손실을 안겼다. 그러나 독일의 손실도 만만치 않았고 무엇보다 연합군이 이탈리아의 시칠리아 섬에 상륙해서 공격을 중단하고 군대를 빼야만 했다.

그 틈을 놓치지 않고 소련이 뒤통수를 후렸고, 결국 독일은 우크라이나에서 쫓겨나고 만다.

참고로 그당시 쿠르스크 지역의 전선은 툭 튀어 나와있던 돌출부였다. 독일군이 툭 튀어 나온 쿠르스크를 포위하기위해 사방에서 공격한 전투이다.

소련군 방어선은 중심부에서 외곽까지 대략 100km정도 됬다고 함. 정확하게 아는 사람 수정 바람.

그리고 원래 기습으로 칠려했는데 독일군 병사하나가 소련군한테 잡혀서 독일이 선제빵당했다.

ㄴ 사실 아프베어가 이 시기에는 거의 병신이 돼서 시타델 작전 관련 정보가 줄줄 새나갔다. 그리고 소련이 선제빵을 날렸으나 병신 같은 낙지의 운송능력으로 인해 공세 시작점에는 도달도 못 한 부대가 대다수여서 피해를 별로 입지 않았다.

이런 병신들...

결과는 독일이 더 이상 공세를 유지할 힘을 완전히 잃어버린채 베를린까지 쭉쭉 밀림.

한마디로 소련이 독일군을 영토에서 몰아내는 정도를 넘어서 아예 독일 본토로 역관광까지 가게 된 계기가 된 전투이다.

하르코프에서 다시 소련한테 한 방 먹이긴 했지만 이미 소련에 넘어간 공세주도권을 빼았아 올 수는 없었다.

상세[편집]

42~43년도에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완전히 말아먹은 독일은 이미 가망이 없던 청색작전을 접으며 부랴부랴 전선을 뒤로 물리기 시작했다. 소련은 르제프 전역에서 거하게 말아먹었지만 천왕성 작전을 성공시키며 스탈린그라드를 포위하고 있었고, 토성작전으로 스탈린그라드 외곽의 독일군을 밀어버리며 승기를 굳히고 있었다.
그러자 스탈린은 물론이고 스타브카까지 낙관론에 빠져서는 이참에 남쪽에서 쭉 밀어서 전선에 구멍을 뚫고 이를 이용해서 골칫거리인 독일 중부집단군을 잡자! 하면서 별 작전을 개시했고, 소련군은 공격을 개시하는데 이게 바로 위에 잠깐 언급된 하르코프 공방전이다. 정확히는 3차 하르코프 공방전.
독일이 스탈린그라드에서 야전군 하나 말아먹고 공세를 중단했다지만 아직 건재한 상황이었는데 소련은 대책없는 낙관론속에 이참에 다 잡아버리자했고, 독일은 만슈타인의 지휘하에 소련군의 주력을 하르코프 깊숙히 끌어들여서 역으로 잡아버린다. 그리고 하르코프의 주도권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소련군은 또다시 50여개의 사단이 공중분해되는 병신력을 발휘하며 전쟁의 무게추를 어느정도 중간으로 돌려버렸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하르코프를 독일이 먹으면서 북쪽 중부전역에 거대한 돌출부가 구성되는데, 이게 바로 쿠르스크였다.

43년을 여름 독일의 새로운 공세는 이전과는 달리 아주 수비적인 목적의 공세로 계획되었고, 그 목표는 쿠르스크였다. 독일의 전략적 목표는 쿠르스크 돌출부를 위아래에서 치고 들어가 포위해 짤라버리고, 이 과정에서 소련군을 최대한 많이 포위 섬멸하는 전형적인 방식이었다. 즉, 적의 물리적 섬멸을 추구하는 아주 정석적인 독일군의 작전이었다. 덤으로 길게 늘어진 전선을 줄여서 독일군에게 가해지는 중압감도 덜고자하는 의미도 있었다. '바르바로사 작전 - 소련박살' -> '청색 작전 - 자원먹고 소련박살' -> '성채 작전 - 소련군 최대한 줄이고 막자'로 이어지는 낙지 좆망 스토리를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다.
여튼 이 시점에 소련군의 정보력은 이미 절정에 다다라서 독일군의 공세예측지점을 아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즉 바르바로사때 우크라이나 지킨다고 중부전역 고속도로 뚫어주고, 청색 작전때 모스크바 지키다가 남쪽에 고속도로 뚫어준 병신짓을 하지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에리히 만슈타인은 하르코프의 승리 이후 이 기세를 몰아서 남부집단군이 북쪽으로 공세를 펼치면서 동시에 중부집단군을 남진시켜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반면 구머리는 지금은 공격하기 좋지 않은 시기라고 반대하기는 했지만 독일이 보기에 이전에 대패를 당한 소련은 비틀비틀거리고 있었고 이참에 한방 더 먹이는 쪽으로 결정되고 히틀러는 만슈타인의 구상을 받아들여 쿠르트 자이츨러 참모총장에게 세부적인 계획을 맡긴다. 만슈타인은 이게 즉시 공격을 주장했지만 해빙기의 지랄맡는 진흙탕으로 도저히 공세를 펼칠 상황이 아니었기에 땅이 마르는 여름까지 공세를 미루는 한편 최대한 전력을 긁어모으기 시작한다.
한편 소련군도 스탈린이 조급증을 이기지못하고 쿠르스크 돌출부가 거슬렸는지 여기서 공세를 시작해 남쪽이던 북쪽이던 치고들어가자고 스타브카를 갈궈댔고, 만약 여기서 스탈린의 땡깡대로 소련군이 먼저 들어갔다면 소련은 좆망이었을것이다. 그러나 히틀러를 못이긴 낙지장군들과 달리 스타브카의 지휘관들은 스탈린의 땡깡질을 열심히 설득해서 막았고, 스탈린도 자기가 뭐 하자고 하면 죄다 말아먹은게 많아서인지 슬금슬금 물러나서 독일군의 공세를 막고 카운터치자는 쪽으로 정리가 된다.

일단 정리되자 소련은 쿠르스크에 공격이 올게 뻔하니 이곳에 우주방어를 치기 시작했다. 소련군 특유의 종심방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막대한 자원과 인력이 갈려들어가서(일례로 전선에 방대한 대전차호 구축을위해 민간인 30만명을 동원) 170km가 넘는 길이에 6중 방어선을 구축한다. 거기에 소련군은 60만에 다다르는 두개 전선군을 밀어넣고, 예비병력과 보조전력을 포함해서 인력만 170만명을 쿠르스크 일대에 배치했다.
독일도 가만히 있진 않았고 후방의 공장들을 미친듯이 돌리고, 타 전선의 잉여전력을 재편하는 등 성채작전을 위한 전력을 집중하기 시작했고, 작전개시 즈음에는 90만명에 달하는 인력을 배치했다. 양측의 기갑전력도 상당해서 독일은 2700여대, 소련은 3600여대의 자주포와 전차 등 기갑차량을 한큐에 모았다.

양측 전력

독일 국방군[편집]

1. 중앙 집단군(Army Group Center) : 귄터 폰 클루게(Günther von Kluge) 총지휘 (1) 제 9 군 : 발터 모델 지휘. - 제 20 육군단 : 루돌프 로만(Rudolf von Roman) 지휘. 제 45, 72, 137, 251 보병사단 - 제 46 육군단 : 한스 초른(Hans Zorn) 지휘. 제 7, 31, 102, 258 보병사단 - 제 47 육군단 : 요아힘 레멜센(Joachim Lemelsen) 지휘. 제 2, 9, 20 기갑사단, 제 6 보병사단 - 제 23 육군단 : 요하네스 프라이슈너(Johannes Frießner) 지휘. 제 216, 383 보병사단, 제 78 돌격사단 - 예비전력 : 제 4, 12 기갑사단, 제 10 장갑척탄병사단 (2) 제 2 기갑군 : 에리히 하인리히 클뢰슈너(Erich-Heinrich Clößner) 지휘. - 제 35 육군단 : 로타 렌두릭(Lothar Rendulic) 지휘. 제 34, 56, 262, 299 보병사단 - 제 53 육군단 : 프리드리히 골비처(Friedrich Gollwitzer) 지휘. 제 208, 211, 293 보병사단, 제 25 장갑척탄병사단. - 제 55 육군단 : 에리히 야스케(Erich Jaschke) 지휘. 제 110, 134, 296, 339 보병사단 - 예비전력 : 제 112 보병사단 (3) 예비 집단군 : 제 5, 8 기갑사단

2. 남부 집단군(Army Group South) : 에리히 폰 만슈타인 총지휘 (1) 제 4 기갑군 : 헤르만 호트 지휘. - 제 52 육군단 : 오이겐 오트(Eugen_Ott) 지휘. 제 57, 255, 332 보병사단 - 제 48 기갑군단 : 오토 폰 크노벨스도르프(Otto von Knobelsdorff) 지휘. 제 3, 11 기갑사단, 제 167 보병사단, 그로스도이칠란트 사단 - 제 2 무장친위대 기갑군단 : 파울 하우저(Paul Hausser) 지휘. 제 1, 2, 3 무장친위대 장갑척탄병 사단 (2) 켐프 육군 파견부대(Army Detachment Kempf) : 베르너 켐프(Werner Kempf) 지휘 - 제 3 기갑군단 : 헤르만 브라이트(Hermann Breith) 지휘. 제 6, 7, 19 기갑사단, 제 168 보병사단 - 라우스 군단(Korps Raus) : 에르하르트 라우스(Erhard Raus) 지휘. 제 106, 320 보병사단 - 제 42 육군단 : 프란츠 마텐클로트(Franz Mattenklot) 지휘. 제 39, 161, 282 보병사단 (3) 예비 집단군 : 제 24 기갑군단(제 5 무장친위대 장갑척탄병사단, 제 17 기갑사단)

소련군[편집]

1. 중앙 전선 :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Konstantin Rokossovsky) 총지휘 (1) 제 13 군 : 푸호프(N. Puchow) 지휘. - 제 17 위병 소총 군단 : 제 6, 70, 75 위병 소총 사단 - 제 18 위병 소총 군단 : 제 2, 3, 4 공수 위병 소총 사단 - 제 15 소총 군단 : 제 8, 74, 148 소총 사단 - 제 29 소총 군단 : 제 15, 81, 307 소총 사단 (2) 제 48 군 : 프로코피 로마넨코(Prokofiy Romanenko) 지휘 - 제 42 소총 군단 : 제 6, 70, 75 위병 소총 사단 - 제 73 소총 군단 : 제 2, 3, 4 공수 위병 소총 사단 (3) 제 60 군 : 체르냐초프스키(I. Tschernjachowski) 지휘 - 제 24 소총 군단 : 제 42, 112 소총 사단 - 제 30 소총 군단 : 제 121, 141, 322 소총 사단 - 독립부대 : 제 55 소총 사단 (4) 제 65 군 : 체르냐초프스키 지휘 - 제 18 소총 군단 : 제 69, 149, 246 소총 사단 - 제 27 소총 군단 : 제 60, 193 소총 사단 - 독립부대 : 제 37 위병 소총 사단, 제 181, 194, 354 소총 사단 (5) 제 70 군 : 갈라닌(I. Galanin) 지휘 - 제 28 소총 군단 : 제 132, 211, 280 소총 사단 - 독립부대 : 제 102, 106, 140, 162 소총 사단 (6) 제 2 기갑군 : A. 로딘(A. Rodin) 지휘. - 제 3 기갑 군단 - 제 16 기갑 군단

(7) 예비 전력

- 제 9 기갑 군단

- 제 19 기갑 군단


2. 보로네츠 전선 : 니콜라이 바투틴(Nikolai Vatutin) 지휘 (1) 제 6 위병군 : 치스챠코브(I. Tschistjakow) 지휘 - 제 22 위병 소총 군단 : 제 61, 71, 90 위병 소총 사단 - 제 23 위병 소총 군단 : 제 51, 52 위병 소총 사단, 제 375 소총 사단 - 독립부대 : 제 89 위병 소총 사단 (2) 제 7 위병군 : 수밀로프(M. Schumilow) 지휘 - 제 24 위병 소총 군단 : 제 15, 36, 72 위병 소총 사단 - 제 25 위병 소총 군단 : 제 73, 78, 81 위병 소총 사단 - 독립부대 : 제 213 소총 사단 (3) 제 40 군 : 모스칼렌코(K. Moskalenko) 지휘 - 제 47 소총 군단 : 제 161, 206, 237 소총 사단 - 제 52 소총 군단 : 제 100, 219, 309 소총 사단 (4) 제 69 군 : 크루첸킨(W. Krutschenkin) 지휘 - 제 48 소총 군단 : 제 107, 183, 307 소총 사단 - 제 49 소총 군단 : 제 111, 270 소총 사단 (5) 제 1 위병 기갑군 : 미하일 카투코프(Mikhail Katukov) 지휘 - 제 6 기갑군단 - 제 31 기갑군단 - 제 3 기계화 군단 (6) 예비 전력 - 제 35 위병 소총 군단 : 제 92, 93, 94 위병 소총 사단 - 독립부대 : 제 2, 3 위병 기갑 군단

3. 대초원 전선 : 이반 코네프(Ivan Konev) 지휘 (1) 제 5 위병군 : 자도프(A. Zhadov) 지휘 - 제 32 위병 소총 군단 : 제 13, 66 위병 소총 사단, 제 6 공수 위병 소총 사단 - 제 33 위병 소총 군단 : 제 95, 97 위병 소총 사단, 제 9 공수 위병 소총 사단 - 독립부대 : 제 42 위병 소총 사단, 제 10 기갑 군단 (2) 제 5 위병 기갑군 : 로트미스트로프(P.Rotmistrov) 지휘 - 제 5 위병 소총 군단 - 제 29 기갑 군단

보충 필요할경우 추가바람

전투 전개[편집]

모든게 다 갖춰지고 7월 5일, 공세가 시작된다. 근데 소련군은 거의 맵핵에 준하는 첩보망을 구축해서 공세지점과 날짜따위는 이미 파악하고 있었고 정확한 시간마저도 공세당일 독일군 포로를 잡아서 확인하고는 독일의 공세가 시작되기 한시간전에 선빵을 갈겨서 독일놈들 기를 꺾어버리는 여유도 보여준다. 독일측에선 소련군의 포격에 당황해서 '시발 소련놈들이 방어가 아니라 공격을 준비했나봄! 좆됨!'이라며 멘붕했는데 잠시 두고보니 공격준비포격이 아니란걸 파악하고 예정된 시간대로 작전을 개시한다.
독일은 북부에서 발터 모델의 9군이, 남부에서는 헤르만 호트의 4기갑군이 각각 주력으로 치고 들어간다. 하지만 위에 언급했듯 소련의 우주방어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고, 제공권 또한 소련공군이 질적 숫적으로 독일과 비등해지면서 장악하는데 실패한다. 북쪽에서 치고 들어가는 9군은 공세당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기갑전력을 전선에 쏟아붓다시피해서 소련의 우주방어를 무너뜨리려고했으나 공세첫날 불과 6 km 진격하는데 그치고, 전력손실은 초월적인 수준이었다. 그래도 이미 시작한거 끝장을 보자는 심정으로 포늬리에서 엄청난 전력을 쏟아부어 어떻게든 공세를 지속하려했으나 결국 그 마을에서 소련군의 우주방어에 공세여력을 잃고 돈좌되어버린다.
한편 남쪽은 북쪽보단 사정이 쥐꼬리만큼 좋았는데, 소련의 방어가 북쪽이 더 좋았던가 그런게 아니라 남쪽의 4기갑군이 갖추고 있는 전력이 9군보다 훨씬 우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더 좋은 전력을 갖고도 소련의 우주방어에 헤딩을 해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건 마찬가지였고, 20km정도 진격하다가 결국 한계에 부닥쳐서 9군마냥 여기저기 구멍을 찾으려고 찔러대기 시작했는데 이 와중에 벌어진게 어설픈 밀덕이라도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프로호로프카 전투다. 여기서 독일이 계속 진격하면 돌출부의 중핵인 쿠르스크에 다다를 수 있었고, 소련은 예비전차전력을 쏟아부어서 독일에게 길막을 시전한다. 이 전투에서 독일은 소련군을 거의 괴멸했지만 누적된 피해도 더 이상 공세를 지속할순없었고, 결국 북쪽과 마찬가지로 뒤로 빠진다.

결국 성채작전은 7월 13일 공식적으로 종료된다. 이탈리아 전선의 상황이 급박해져서 물렸다지만 그건 8월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히틀러가 위기감을 느낀것이고, 실제로는 소련이 후속 반격작전으로 시행한 쿠투조프 작전과 루미안체프 작전의 여파로 독일군이 공세는 커녕 소련군의 반격도 막아내기 어려운 상황이 된 탓이 컸다.
여튼 성채작전의 결과자체는 독일의 부분적 우세였다. 병력교환비가 독소비율로 1:4에 다다랐고, 전차의 경우엔 연구결과에 따라 조금씩 차이나지만 1:6 ~ 1:7에 다다르는 비율로 소련이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쿠르스크 돌출부를 잘라내버린다는 전략적 목표달성은 실패했고, 무엇보다 소련은 쿠르스크 전역의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전략예비대와 자원이 있었지만 독일은 전략예비대도 박박 긁어서 성채 작전으로 낭비해서 거덜나버린 상황이었다.
결국 독일은 이 공세를 마지막으로 동부전선에서 더 이상 공세작전을 개시할 여력을 상실했고 전략적 주도권도 완벽하게 소련에게 넘겨주고 이후 지리멸절 패주하게되고, 45년도에 베를린 국회의사당에 소련국기가 펄럭이게 된다.

만약 돌출부 절단에 성공했다면?[편집]

주의! 이 문서는 지옥 그 자체를 다룹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지역이나 장소는 지옥입니다.
지옥 그 자체라 사는 게 곶통이며 뒤지는 게 나을 정도입니다. 이 암울한 상황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다른 은하의 외계인들이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이런 좆같은 것들과 살아가는 당신에게 탈지옥을 권합니다.
할 수만 있다면야...

쿠르스크 전투를 이겨서 소련군을 대규모로 포위섬멸하는 데 성공했다 쳐도 전세는 잠시 기울 뿐, 다시 소련으로 돌아갔을 것이다. 애초에 미국이 쇼미더머니를 치고, 독일 본토의 공장들은 폭격맞아 불타는 와중에 당장 총통이라는 놈이 쿠르스크 이긴다고 프리드리히 대왕급 지도지 되는 건 아니잖아? 소련은 어떻게든 손실을 채웠을 것이고 독일은 멸망했을 것이다. 베를린이 연합군에게 먹히냐 소련군에게 먹히냐 정도 차는 있었을 것이다. 어쩌면 핵을 독일이 먼저 맞았을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