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후허하오터

조무위키

중국중국의 행정구역
직할시 베이징() · 톈진() · 상하이() · 충칭()
자치시
행정구소유
간쑤성(甘/陇) · 광둥성() · 구이저우성(贵/黔) · 랴오닝성() · 산둥성() · 산서성() · 섬서성(陕/秦) · 쓰촨성(川/蜀)
안후이성() · 윈난성(云/滇) · 장시성() · 장쑤성() · 저장성() · 지린성() · 칭하이성() · 푸젠성()
하이난성() · 허난성() · 허베이성() · 헤이룽장성() · 후난성() · 후베이성()
자치구 광시좡족자치구() · 네이멍구자치구() · 닝샤후이족자치구() · 신장위구르자치구() · 티베트자치구()
특별행정구 홍콩() · 마카오()

몽골어 ᠬᠥᠬᠡᠬᠣᠲᠠ 후흐호트

영어 Hohhot

개요[편집]

중국 북부 내몽골 자치구의 성도이다.

바오터우에서 서쪽으로 150km, 다퉁에서 서북으로 120km 떨어진 평원에 위치해 있고 인구는 290만 명이다.

이 도시의 원래 이름은 호흐호트(Hothot)로 몽골어로 '푸른 도시'라는 뜻이다. 후허하오터는 중국식 발음이다.

왕소군의 묘가 있는 것으로 보아 흉노 때부터 도시가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한나라의 군현제 당시에는 운중군(雲中郡)으로 칭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흉노 세력권이었으며 한 군현은 사실 흉노를 통제하고자 설치한 명목상의 것일 뿐이었다. 내몽골 남부 열하 지역의 바오터우[1]만리장성 주변 지역들이야 한족들이 실제로 이주해 살았으나[2] 척박한 이 지역은 흉노의 세력권일 뿐이었다. 이후 한무제곽거병이 북방 원정을 단행하면서 외몽골시베리아 남부 등과 함께 이 지역도 정복했는데 이 때 바이칼 호까지 갔었다.

이후에는 유연의 세력권이었다 유연이 외몽골 서부 알타이에서 기원한 같은 몽골계인 튀르크 즉 돌궐에 멸망하며 이 지역은 돌궐의 영역이 된다. 돌궐은 내몽골은 물론 외몽골과 바이칼, 예니세이 일대를 주축으로 서쪽으로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쪽으로는 바이칼 호와 대흥안령에 이르는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후 동서 돌궐로 분열되었다 당나라에 동돌궐이, 그리고 위구르 제국에 서돌궐이 망한 후 다시 내몽골은 돌궐의 적대부족인 철륵 부족이 소그드인과 혼혈된 황백혼혈 위구르인에 의해 세워진 위구르 제국 통치권에 들어간다. 돌궐과 위구르 둘 다 유목민이었으나 위구르는 소그드인에 의해 마니교를 받아들이며 정착생활을 하여 유목민적 색체를 잃었고 곧 탄저병의 유행으로 자멸했으며 탄저균 때문에 이 지역에는 나중에 위구르를 대신해 몽골에 들어온 키르기스인들도 발을 못 들였고 그 틈을 타 바이칼 호와 만주 북부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키아트 족이라는 종족, 즉 오늘날의 몽골인들이 내려와 오논 강 유역, 바이칼 호 연안, 대흥안령과 함께 자신들의 터전으로 삼는다. 이때 나온 사람이 그 유명한 칭기즈 칸이며 칭기즈 칸은 몽골 제국이라는 이름 하에 내몽골 일대에서 놀던 원시 타타르를 절멸시킨 후 몽골에 복속시키고 더 나아가 외몽골 정복으로 케레이트와 나이만, 오이라트, 메르키트 등 수많은 종족을 몽골에 편입시킨다.

이후 한족명나라를 세운 뒤에도 내몽골 전체는 북원이 남아 있어서 독립적인 몽골인의 땅이었다.

이 도시로 돌아가서 이 도시의 기원은 몽골 제국원나라를 계승한 북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6세기 중엽 북원알탄 칸에 의해 지어진 구시가지는 귀화성(歸化城)[3], 청나라 대에 지어진 신시가지는 수원성(綏遠城)으로 불렸는데, 이 두 지명이 합쳐져 귀수(歸綏), 즉 구이쑤이로 불렸다. 애초 사막 한가운데 척박한 지역이라 한족이 원래 살지 않았으나 알탄 칸이 대원제국의 부활을 외치고 스스로를 중국 천자 자리를 되찾겠다고 선언하며 베이징을 포위하는 경술의 변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 산서성, 허베이성 일부를 수복, 이 지역 한족들을 내몽골로 이주시킨 후 한족식 도시를 만든 게 귀수성이었다. 그 덕분에 내몽골 외곽인 엘렌호트 등과 달리 호흐호트는 원래부터 한족이 더 많았다. 사실 유목민인 몽골인에게 도시는 아직도 낯선 것이었고 서쪽으로 간 몽골 제국 후예들인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일 칸국 등은 먼저 도시를 만들었던 동계 유목민족인 페르시아화된 튀르크인, 즉 현재 우즈베크인들에 동화되어 이슬람/ 튀르크화되었고 동쪽의 몽골 본진인 원나라중국 대륙을 통일한 후 대칸이 중국 황제를 선포한 식이었으며 도시는 페르시아나 중국 등 정주 문명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유지되었다.

이후 만주족청나라가 혼인동맹으로 만주-몽골을 일체화하자 이 지역은 당시 후금이라 불리던 청나라에 편입되며 만리장성 방면으로 중국을 쳐들어가는 기점이 된다.

청의 지배 후에는 중화민국의 차하르성을 거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만든 내몽골자치구의 수부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기후/환경[편집]

전형적인 사막성 기후이다.

연 강수량이 약 300mm로 매우 건조한 환경이다. 겨울철 실내에 빨래를 널면 2시간만에 마른다.

원체 건조한지라 비는 구경도 힘들고 비가 내려도 금방 마르기 때문에 길가에 배수구가 없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이처럼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서 중국에서 가장 물이 부족한 도시 중 하나로 꼽히지만, 황하 및 요하에서 물을 끌어오는 덕분에 생활에는 불편함이 없다.

대륙성 기후라서 낮에 덥고 밤에 춥다. 마찬가지로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다. 대신 건조하기 때문에 낮이라도 그늘만 가면 비교적 시원한 편이다. 애초 몽골 기후가 다 이렇다. 짧은 여름엔 썹시 40도까지 올라가고 긴 겨울에는 영하로 -50도까지 떨어진다. 조드라는 강풍은 덤이다. 조드 한방에 부자도 망한단 몽골 속담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그래서 몽골인의 주택인 게르의 경우 여름 더위와 겨울 추위에 모두 대비가 되어 있도록 설계했으며 강풍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점은 같은 사막에 사는 동계 유목민인 튀르크계 유목민들의 유르트도 똑같다.

여름이 짧은 편이라 호텔 같은 건물 제외, 대학이나 기숙사, 가정집, 식당 등에 에어컨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기온이 들쭉날쭉하여, 5월에 난데없이 30도까지 올랐다가 12도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벚꽃피는 계절에는 벚꽃 위에 눈이 내려앉기도 한다. 햇빛은 굉장히 강한 편이라 선글라스 없이 다니기 힘들다.

또한 기압이 아주 낮아서 강풍이 심하다. 비행기도 내몽골 상공 비행 시 강풍에 심하게 흔들려서 몽골 고원을 통과하는 비행은 난이도가 꽤 높다. 내몽골이 어찌나 강풍이 심한지 바이킹을 타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비행기가 수직하강과 상승을 반복하기도 한다. 북극항로 개척이 늦었던 이유 중 하나가 이렇게 까다로운 난이도의 기류대를 통과해야 하는데 비해 몽골, 중국, 러시아 3국의 관제시스템이 열악해서 그런 게 컸다.

의외로 황사는 짧다. 대신 심한 경우 공기에서 모래 내음을 맡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가 매우 좋다. 흐린 날이 드물고 하늘은 높고 푸르다. 우리나라의 가을 하늘을 연상하면 된다.

음식[편집]

"北咸南甜、东酸西辣"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음식이 매우 짜다.

원나라 시대 이 지역에 이주한 한족들에게선 전통적으로 감자 재배가 일반적이었다고 하는데, 이는 기후가 원인으로 보인다. 2010년대부터 도시 외곽에 우후죽순 생긴 신도시 지구가 1980년대~1990년대에는 전부 광활한 감자밭이었다는 얘기가 있다.

이 지역은 엄연히 내몽골 지역인지라 중국의 최대 소수민족을 이루는 몽골족, 즉 몽골인들이 많이 들어와 있기 때문에 몽골 요리도 자주 접할 수 있다. 독립국 몽골 즉 외몽골과 약간 다른 내몽골식 몽골 요리인데 이 내몽골식 요리가 만주 요리, 그리고 북방 중국 요리베이징 요리 등에 큰 영향을 끼쳤다.

관광[편집]

원나라, 북원, 청나라 등 유목민 왕조 시대에 지어진 티베트 불교 사원들[4]과 역시 이 지역 토착민인 회족에 의해 지어진 이슬람 사원 청진사[5], 흉노에 끌려간 한나라 공주 왕소군의 묘인 소군묘 등이 관광지이다.

시내 동쪽에 바이타 국제공항이 있으나 철도 교통이 애용된다. 바이타 국제공항 인근에는 요나라대 중후기에 세워진 白塔[6]가 있는데, 시내버스가 통하지 않는다. 시내버스 종점에서 도보로 50분 거리인데 인도가 없다.

내몽골 박물원도 규모가 크고 이 지역을 차지, 개발한 유목민 왕조인 요, 금, 원, 청대 및 흉노와 돌궐 시대 역사 유물을 다량 소장하고 있어 볼 만 하다. 특히 한국에서 보기 힘들고 잘못하면 터키 이스탄불까지 가서 봐야 하는 돌궐 유물들을 여기서 대거 볼 수 있다.

교통[편집]

후허하오터 지하철이 있으며 1호선만 개통된 상태이다.

각주

  1. 몽골어로는 부가트
  2. 삼국지연의에도 나오는 그 여포가 바오터우 인근 사람이다. 물론 그는 흉노족이 아니다.
  3. 이는 망명한 한족 귀순자들을 위해 조성되어 이름 붙여졌기 때문이다.
  4. 大召无量寺, 五塔寺 등.
  5. 마스지드중국어로는 청진사라 한다
  6. 바이타. 즉 백탑. 만부화엄경탑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