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성


2015 개정 교육과정 동아시아사
1단원 II.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과 변화 3단원
인구 이동 5호 16국 시대 · 동진 · 남북조 시대 · 고구려 · 백제 · 신라 · 도래인 · 야마토
위진남북조시대
인물 효문제 · 달마
정책 한화 정책
수당시대
과거제 · 대운하 · 고구려-수 전쟁
인물 현장 · 감진
정책 3성 6부제(중서성 · 문하성 · 상서성 · 이부 · 호부 · 예부 · 병부 · 형부 · 공부) · 과거제 · 균전제 · 조용조 · 부병제 · 장안 · 견당사 · 오경정의 · 화번공주 · 절도사
사건 고구려-당 전쟁 · 나당연합 · 백강 전투 · 나당전쟁 · 5대 10국 시대
북방 민족의 등장
인물 야율아보기
정책 및 사건 연운 16주 · 전연의 맹 · 북면관제와 남면관제
문화 거란 문자
서하
인물 이원호
문화 서하 문자
인물 완옌아구다
정책 및 사건 정강의 변 · 맹안·모극제
문화 여진 문자
인물 조광윤 · 왕안석 · 주자
정책 및 사건 전연의 맹 · 신법 · 정강의 변 · 몽골-남송 전쟁
문화 성리학(주자가례 · 사서집주 · 소학 · 서원 · 향약) · 사대부
몽골 ·
인물 칭기즈 칸 · 오고타이 칸 · 쿠빌라이 칸 · 마르코 폴로 · 이븐 바투타
정책 및 사건 천호제 · 호라즘 정벌 · 여몽전쟁 · 몽골-남송 전쟁 · 몽골-베트남 전쟁(쩐흥다오) ·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 다루가치 · 삼별초의 난 · 홍건적의 난
문화 역참 · 시박사 · 교초
홍무제 난징 · 홍건적
영락제 베이징 · 정화(정화의 항해) · 자금성
한국사 시대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 후삼국시대 · 고려 · 조선
국가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발해 · 태봉 · 고려 · 조선
인물 소수림왕 · 침류왕 · 법흥왕 · 혜자 · 의상 · 혜초 · 원효 · 대조영 · 장보고 · 왕건 · 광종 · 서희 · 강감찬 · 윤관 · 안향 · 공민왕 · 이성계 · 태종 · 이황 · 이이 · 강항
사건 고구려-수 전쟁 · 고구려-당 전쟁 · 나당연합 · 나당전쟁 · 고려-거란 전쟁 · 여진 정벌 · 여몽전쟁 · 삼별초의 난 ·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 요동 정벌
정책 및 문화 독서삼품과 · 3성 6부제(발해) · 왕오천축국전
일본 시대 고훈 시대 ·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막부 · 무로마치 막부 · 에도 막부
인물 쇼토쿠 태자 · 나카노오에 황자 · 엔닌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아시카가 다카우지 · 고다이고 덴노 · 아시카가 요시미츠 · 후지와라 세이카 · 하야시 라잔
사건 다이카 개신 · 다이호 율령 · 남북조 시대 ·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정책 2관 8성(태정관 · 신기관) · 견당사 · 막부 · 감합 무역
문화 전방후원분 · 스에키 · 호류지 · 헤이조쿄 · 도다이지 · 입당구법순례행기 · 신불습합
조공책봉관계 한나라
백등산 전투 · 한위노국왕
당나라
나당전쟁 · 견당사 · 화번공주
유학 율령 상앙 · 이사 · 진시황 · 무제 · 동중서 · 3성 6부제 · 균전제 · 조용조 · 부병제 · 과거제(전시 제도 · 광종 · 사대부) · 3성 6부제(발해) · 신라 촌락 문서 · 독서삼품과 · 다이카 개신 · 다이호 율령(2관 8성)
성리학 화이론 · 주자(사서집주 · 주자가례 · 소학) · 서원 · 향약 · 신사 · 안향 · 이황 · 이이 · 강항 · 후지와라 세이카 · 하야시 라잔
기타 유교 훈고학(오경정의) · 양명학(왕수인)
불교 대승 불교 소수림왕 · 침류왕 · 법흥왕 · 원효 · 의상 · 대장경 · 윈강·룽먼 석굴 · 황룡사 · 석굴암 · 호류지 · 도다이지 · 부모은중경 · 신불습합 · 선종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팔만대장경
승려의 활동 현장(대당서역기) · 감진 · 혜자 · 의상 · 혜초(왕오천축국전) · 엔닌(입당구법순례행기)

2015 개정 교육과정 세계사
1단원 II.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 3단원
춘추전국시대 견융족 · 호경 · 낙읍 · 춘추시대(존왕양이 · 춘추오패) · 전국시대(전국칠웅) · 봉건제 · 군현제 · 제자백가 · 유가(공자 · 맹자 · 순자) · 도가(노자 · 장자) · 묵가(묵자) · 법가(상앙 · 한비자)
진한시대 진(秦)
진시황 · 군현제 · 반량전 · 전서체 · 분서갱유 · 만리장성 · 진승·오광의 난
한(漢)
전한 유방 · 장안 · 군국제 · 한무제 · 향거리선제 · 호족 · 유교(동중서 · 훈고학) · 오경박사 · 태학 · 장건(실크로드) · 오수전 · 사기(사마천) · 왕망 · 신나라
후한 광무제 · 불교 · 한서 · 채륜 · 황건적의 난(태평도) · 오두미교
위진남북조시대 삼국시대 위나라 · 촉나라 · 오나라 · 서진
5호 16국 시대 흉노 · 갈족 · 선비족 · 저족 · 강족 · 동진
남북조 시대
북조 북위 · 효문제 · 뤄양 · 한화 정책 · 동위->북제 · 서위->북주->수나라
남조 동진 · 유송 · 남제 · 소량 · 남진
사회, 경제, 문화 구품관인법 · 문벌귀족 · 균전제 · 청담사상(죽림칠현) · 윈강·룽먼 석굴 · 도교 · 도연명(귀거래사) · 고개지(여사잠도)
수당시대 수(隨)
양견(과거제 · 균전제 · 조용조 · 부병제) · 수양제(돌궐 · 고구려-수 전쟁 · 대운하)
당(唐)
역사 이연 · 당태종(정관지치 · 동돌궐 · 율령) · 당고종(서돌궐 · 나당연합 · 고구려-당 전쟁) · 당현종(개원지치 · 안사의 난) · 토번 · 절도사 · 황소의 난 · 주전충
정치, 사회, 경제 율령 · 3성 6부제 · 주현제 · 균전제 · 조용조->양세법 · 부병제 · 기미 정책(도호부) · 비전 · · 실크로드 · 시박사
문화 오경정의 · 현장 · 조로아스터교 · 마니교 · 이슬람교 · 네스토리우스파 · 이백 · 두보 · 당삼채 · 유교 · 불교 · 한자
한국 고대사 고조선 · 부여 · 삼국시대(고구려 · 백제 · 신라) · 발해
일본 고대사 선사 시대 조몬 시대 · 야요이 시대(야마타이국) · 고훈 시대
야마토 정권 고훈 시대 · 아스카 시대(쇼토쿠 태자 · 견당사) · 다이카 개신
나라 시대 헤이조쿄 · 견당사 · 율령제 · 도다이지 · 고사기 · 일본서기 · 만요슈
헤이안 시대 헤이안쿄 · 사무라이 · 국풍 문화 · 가나 · 와카
송원시대 송(宋)
역사 5대 10국 시대(후량 · 후당 · 후진 · 후한 · 후주) · 조광윤 · 전시 제도 · 신법(왕안석 vs 사마광) · 남송(임안 · 몽골-남송 전쟁)
경제, 사회, 문화 용골차 · 모내기 · 참파 벼 · 교자 · 시박사 · 사대부 · 주자(성리학 · 화이론) · 자치통감(사마광) · 나침반 · 화약 · 청명상하도
정복 왕조
요(遼) 거란 · 야율아보기 · 전연의 맹 · 북면관제와 남면관제 · 거란 문자
서하(西夏) 탕구트족 · 서하 문자
금(金) 여진 · 정강의 변 · 중도 · 여진 문자 · 맹안·모극제
몽골 제국·원(元)
역사 칭기즈 칸(천호제) · 쿠빌라이 칸(대도 · 원나라 · 몽골-남송 전쟁 ·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 홍건적의 난
경제, 사회, 문화 색목인 · 교초 · 역참 · 원곡 · 티베트 불교 · 파스파 문자 · 수시력 · 마르코 폴로 · 이븐 바투타
명청시대 명(明) 홍무제(어린도책 · 부역황책 · 이갑제 · 육유) · 영락제(자금성 · 베이징 · 베트남 정복 · 내각 대학사 · 정화의 항해 · 정화) · 환관 · 북로남왜 · 장거정(일조편법) · 임진왜란 · 이자성의 난
청(淸) 누르하치(팔기제 · 후금) · 홍타이지 · 순치제 · 강희제(오삼계 · 삼번의 난 · 정씨 왕국 · 네르친스크 조약 · 지정은제) · 옹정제(군기처) · 건륭제(사고전서 · 문자의 옥) · 변발 · 호복 · 만한병용제 · 백련교의 난
사회, 경제 신사층 · 회관 · 공소 · 명의 해금 정책 · 감합 무역 · 청의 해금 정책 · 공행 · 일조편법 · 지정은제
문화 양명학(왕수인) · 본초강목 · 천공개물 · 농정전서 · 고증학 · 공양학 · 사고전서 · 삼국지연의 · 수호지 · 서유기 · 홍루몽 · 경극 · 마테오 리치(곤여만국전도 · 기하원본) · 아담 샬(시헌력) · 전례 문제
일본 막부 시대 가마쿠라 막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봉건제 ·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무로마치 막부 아시카가 다카우지 · 감합 무역 · 센고쿠 시대 · 도요토미 히데요시 · 임진왜란
에도 막부 도쿠가와 이에야스 · 에도 · 다이묘 · 산킨코타이 · 조카마치 · 슈인장 · 쇄국 · 네덜란드 공화국 · 조닌 · 가부키 · 우키요에 · 난학(해체신서)
주의!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대상은 그야말로 클라스가 다릅니다.
이 문서는 다른 것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클라스가 다른 갓-창작물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여러 대중매체에서 자주 거론되거나, 아니면 문화적, 세계적으로 거대한 영향을 끼쳤거나
확실히 그 무엇보다도 다른 우주명작급 작품이니 본문을 읽기 전 뇌를 비우시기 바랍니다.
삐–좆노잼 문서는 삐–애미뒤진 백괴식 윾윽대를 금지 사항입니다하고 있습니다.

백괴사전, 듕궉 파일:마데인치나.gif산 백과사전

이 문서는 자칭 이 듬뿍 들어간 사전이라면서 삐–삐-의 범람과 마치 너처럼 삐–존나 재미없는 백괴식 윾대가 서술되어 있다 카더라.
자세한 내용은 알 게 뭐야. ㄹㄹ?(← 삐–씨발극혐) 절대 북괴사전따위로 읽지마라! 죽이는 수가 있다!
이 상황은 마치 금지 사항입니다같다 카더라. 빌 게이는 딸딸이를 파일:Counter.gif파일:FauxCounter.gif번 치다 갑자기 너는 죽었다.
산토끼가 너를 덮친다!!!너는 죽었다 AAAAAAAA!!! 은 사실 나치크로소프트를 세웠다. -- 초딩, 삐–지랄하며
위키백과 사람들은 유머감각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문서를 만들수 없습니다! 백괴사전은 금지 사항입니다 아름다운 금지 사항입니다입니다.[1]
신은 나ㄴ얼ㅓ라ㅐㄴ어랸ㅇ만큼 심심해서 백괴스러운 이곳을 만들었습니다. 백과사전과는 다르다! 백과사전과는!
씨쁘뜨끼까 안빠쪄요! ㄹ ㄹㄹㄹ? 북한에 가면 다이나믹 로동을 열심히 할 것이라 카더라.[2] 이 문서는 삐–존나 이 없다!
미싱노가 튀어나왔다ㄹ언#ㅕ\$(#*@#@*(ㄲ&#\$ 백괴사전에서는 꿀잼이 러시아입니다![3] 코렁탕은 과 함께!
587.69.74.11 은 참 같다 카더라. 언사이클로피디아와는 다르다! 언사이클로피디아와는! 히익 너는 변태다!!!
이윤희는 윤희위키를 만들고 윤희코드를 만들어서 윤희가 되었다 카더라. 코끼리를 냉장고에 잘 집어넣는다.
ㄹㄹㄹㄹ ㄹ ㄹㄹ ㄹㄹㄹㄹㄹㄹ[4] AAAAAAAAAAAAAAAAAA? 무심한 듯 시크하게! 듕귁어는 미개하다.
위뷁은 글을쓰면 !即時削除!!된다 카더라 그래서 너는 죽었다. 그러니 기를 모아야 합니다. 알 게 뭐야. 29만원을 0으로 나눈다.
어느 날에 명이 무안단물DHMO를 마셔서 번 죽고 명 살아남았다! 卐가 맞을까 卍가 맞을까 丛벌 참 奀같네刁刁刁


1. 반어법이라 카더라.
2. 물론 이 끝은 로동이 없다!
3. 유머식 러시아다!
4. 나라는 참 멋진 러시아입니다!

개요[편집]

중국 북경시에 있는 세계에서 제일 큰 궁궐.

원래 이름은 자금성(紫禁城)이지만 명청황실이 사라진 관계로 현재는 간략하게 고궁(故宫)이라고 부르고 있다. 참고로 정식명칭은 고궁박물원(故宫博物院)이다.

대한민국의 흔한 중국집 이름이다

어느 동네를 가도 자금성 이라는 중국집은 항상 있다

비슷한 말로는 북경반점, 산동반점, 신흥원이 있다

중국인들은 이를 기려 자기들 궁궐에다가 이런 이름을 붙여놨다

연혁[편집]

명나라 성조 영락제(成祖 永乐帝) 치세에 북경천도 후 건설되어 청조시대에 들어서면서도 그대로 황궁으로 쓰였다. 신해혁명 후에도 청황 실의 거주는 제한적으로나마 묵인됐지만 펑위샹(馮玉祥)의 북경정변으로 청 황실은 완전히 퇴거당했다.

명조시대에는 자연재해로, 청조시대에는 서구열강의 반달리즘으로, 민국시대, 중일전쟁, 국공내전에는 폭격으로 일부 전각이 훼손되기도 하다가 문혁때 봉건주의 잔재로 찍혀서 베이징 성곽이랑 도매로 홍위병들한테 박살날 뻔했지만 저우언라이갓카가 천안문에다 못된똥사진을 떡하니 걸어놓은 덕분에 무사히 보존되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중국 국무원에 의해 국가유산으로 지정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됐다.

후기[편집]

여기 여행갈 때 산소통 하나 들고가라 질식해 죽을지도 모른다

인간 절라많음...............

인간도 인간이지만 베이징의 센타라서 대륙의 스모그를 다쳐먹고 가야한다.

자금성을 가로질러 가는데만 무려 2시간 ㅅㅂㅋㅋㅋㅋㅋ

구조[편집]

사문[편집]

  • 오문(午门): 궁의 고문(皐門) 이자 대문이다.
  • 신무문(神武门): 궁의 북문이다.
  • 동화문(东华门): 궁의 동문이다.
  • 서화문(西华门): 궁의 서문이다.

외조(外朝) 3전3각[편집]

  • 태화문(太和门): 궁의 응문(應門)이다.
  • 우익문(右翼门): 정전의 서문이다.
  • 좌익문(左翼门): 정전의 동문이다.
  • 태화전(太和殿): 황궁의 정전(正殿)으로, 천자의 격식인 9칸으로 건립되었다가 후에 제후국들이 9칸짜리 궁궐을 지으면서 11칸으로 늘린다.
  • 체인각(体仁閣): 태화전 서쪽의 외조전각이다.
  • 홍의각(弘义閣): 태화전 동쪽의 외조전각이다.
  • 중우문(中右门): 태화전 서쪽에 위치한 문이다.
  • 중좌문(中左门): 테화전 동쪽에 위치한 문이다.
  • 중화전(中和殿): 태화전 뒤편의 외조전각으로, 황제의 집무 및 휴식공간이다.
  • 보화전(保和殿): 중화전 뒤편의 외조전각으로, 황제가 제후들을 맞이하던 전각이다.
  • 후우문(后右门): 보화전 서쪽에 위치한 문이다.
  • 후좌문(后左门): 보화전 동쪽에 위치한 문이다.

외조(外朝) 문화전(文华殿)[편집]

  • 문화문(文华门): 문화전의 문이다.
  • 문화전(文华殿): 원래는 황실의 교육장이었으나 후에 편전(便殿)으로 바뀐다. 현재는 자금성의 도자기들을 전시하고 있다.
  • 주경전(主敬殿): 문화전과 붙어있으며 용도도 같았다.
  • 문연각(文渊阁): 문화전의 서고이다.

외조(外朝) 무영전(武英殿)[편집]

  • 무영문(武英门): 무영전의 문이다.
  • 무영전(武英殿): 원래는 대신들을 접견하던 곳이었으나 후에 편전(便殿)으로 바뀐다.
  • 경사전(敬思殿): 무영전과 붙어있으며 용도도 같았다.
  • 욕덕당(浴德堂): 욕실이다.

내정(內庭)[편집]

중로(中路)[편집]

  • 건청문(乾淸门): 궁의 노문(路門)이자 건청궁의 정문이다.
  • 일정문(日精门): 건청궁의 동문이다.
  • 월화문(月华门): 건청궁의 서문이다.
  • 건청궁(乾淸宫): 원래는 궁의 침전(寢殿)이었으나 옹정제시기에 편전(便殿)으로 바뀐다.
  • 교태전(交泰殿): 천추절 행사를 얼었던 전각이다.
  • 곤녕궁(坤宁宫): 황실의 국혼이 치뤄졌던 전각이다.
  • 어화원(御花园): 곤녕궁 뒤에 위치한 정원이다.
  • 흠안전(钦安殿): 어화원 내부의 수많은 전축물들 중 하나로 어화원 한가운데에 있다.
  • 어경정(御景亭): 어화원 내부의 수많은 전축물들 중 하나로, 존나 높은 바위위에 있어서 눈에 띄는 정자다.
  • 이조당(摛藻堂): 어화원 내부의 수많은 전축물들 중 하나

서6궁[편집]

  • 장춘궁(长春宫): 서6궁의 하나로, 서태후의 거처였다.
  • 익곤궁(翊坤宫): 서6궁의 하나
  • 저수궁(储秀宫): 서6궁의 하나
  • 태극전(太极殿): 서6궁의 하나
  • 영수궁(永寿宫): 서6궁의 하나
  • 함복궁(咸福宫): 서6궁의 하나

양심전(养心殿)[편집]

  • 양심문(养心门): 양심전의 문이다.
  • 양심전(养心殿): 궁의 침전(寢殿)이다.

중화궁(重华宫)[편집]

  • 중화궁(重华宫): 건륭제가 황태자시절 거처하였던 전각이다.
  • 숭경전(崇敬殿) : 황제가 내각 관료들과 다연(茶宴)을 베푸는 전각이다.
  • 수방재(漱芳斋): 황태후의 생신잔치가 열렸던 전각이다.

서궁(西宫)[편집]

  • 자녕문(慈宁门): 자녕궁의 문이다.
  • 자녕궁(慈宁宫): 황실의 여성들이 거주하였던 전각이다.
  • 대불당(大佛堂): 황실의 불교의례에 사용되던 불구들을 보관하였던 전각이다.
  • 수강궁(寿康宫): 역시 황실의 여성들이 거주하였던 전각이다.
  • 수안궁(寿安宮): 효성헌황후를 기념하여 건축한 전각이다.
  • 영화전(英华殿): 황실의 여성들이 예불을 올리던 전각이다.

동6궁[편집]

  • 승건궁(承乾宫): 동6궁의 하나
  • 경인궁(景仁宫): 동6궁의 하나로, 강희제의 출생지이다.
  • 연희궁(延禧宫): 동6궁의 하나로, 불타 없어졌다가 서양식으로 재건중에 청이 망했다.
  • 경양궁(景阳宫): 동6궁의 하나
  • 영화궁(永和宫): 동6궁의 하나로, 옹정제의 출생지이다.
  • 종수궁(钟粹宫): 동6궁의 하나

봉선전(奉先殿)[편집]

  • 봉선문(奉先门): 봉선전의 문이다.
  • 봉선전(奉先殿): 황가 조상들의 위폐를 모시던 전각이다.
  • 종표관(钟表馆): 건륭제가 수집한 종을 모아놓은 곳이다.

재궁(斋宫)[편집]

  • 재궁문(斋宫门): 재궁의 문이다.
  • 재궁(斋宫): 황제가 9단으로 제사를 지내러 가기 전에 머무는 전각이다.
  • 육경궁(毓庆宫): 원래는 강희제시절 황태자가 머물렀던 전각이었으나, 후에 어린 황제들이 머물기도 하였다.

영수궁(宁寿宫)[편집]

  • 영수문(宁寿门): 영수궁의 문이다.
  • 응기문(凝祺门): 영수궁의 동문이다.
  • 창택문(昌泽门): 영수궁의 서문이다.
  • 황극전(皇极殿): 영수궁의 정전(正殿)이다. 주로 황제가 사신을 접견하던 전각이다.
  • 영수궁(宁寿宫): 딱히 별건 없다. 서태후가 거주한 적이 있다.
  • 양성문(养性门): 양성전의 문이다.
  • 양성전(养性殿): 영수궁의 침전(寢殿)이다.
  • 낙수당(乐寿堂): 영수궁의 소침전이다. 서태후가 거주한 적이 있다.
  • 경기각(景祺阁): 낙수당 뒤의 각루이다.
  • 창음각(畅音阁): 황실이 경극을 관람하던 전각이다.
  • 영수궁화원(宁寿宫花园): 영수궁 서쪽 전체를 차지하는 거대한 정원이다.

관련 문서[편집]